-
-
자본을 넘어선 자본 ㅣ 리라이팅 클래식 2
이진경 지음 / 그린비 / 2004년 4월
평점 :
'자본론'의 철학과 역사를 포괄하는 방대한 내용과 곳곳에 드러나는 마르크스의 날카로운 통찰력을 감안해본다면 이 책의 제목은 대단히 '모험적'이라 보여진다.
그러나 그 모험은 단지 모험으로만 그칠듯하며, 이 책은 자본론을 '그런대로' 잘 요약한 '간추린 자본론' 정도라 평하면 충분할듯 하다. 자본론이 '고전' 으로 불리는 이유는 우선 그것이 맑스 자신의 오랜 정치,경제적 경험과 집요한 연구를 통한 '과학적 방법론' 이었고 , '당대현실' 을 정밀하게 관찰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저자는 잊지 않았나 싶다.
고전을 현재의 현실에 비추어 해석하기보다는 들뢰즈,푸코, 니체 등 사상가들에 의해 재해석하는 저자의 시도는 자본론이 기본적으로 경제학서임을 간과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특히 다음의 논의는 많은 이들의 비판을 받았다.
'노동의 대가를 모두 받는 경우도 착취는 발생한다' (대가를 다 받는데 착취란 말인가?)
'잉여가치가 직접적 비교에 의해서만으로도 발생한다' (단순비교만으로는 잉여가치가 발생않는다)
'가치화 과정은 항상 자본의 증식과정이다.' ' 기계적 잉여가치 ' ( 논거가 없다. )
자신의 주장에 대한 논증의 부재. 개념의 혼란 , 현실경제에 대한 무지, 그리고 과도한 상상력은 '사회과학' 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문학작품에 어울리는 저술이 아니었나 한다. '수유연구실' 출신 저자들이 모두 그러하듯 단지 '책상' 앞에서만 '사유'를 즐기는 '백면서생'의 한계라고 할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끝없는 '~ 아닐까 ' 의 나열은 학자의 태도라고는 볼 수 없겠다. 특히 맑스를 넘어서기 위해서 반드시 보여주어야 할 대안에 대해서 겨우 몇줄로 그치고 있어 아쉽다.
그러나 과연 맑스의 자본을 이 정도로 친근하고 나름대로 이해하기 쉽게 해설하려는 '시도'가 얼마나 있었는가 하는 반문을 해본다면 이 책의 가치를 더 이상 평가절하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이진경은 무엇보다 쉽고, 친절하게 해설하는 재주가 있다. 게다가 책 중간중간의 여러 삽화들과 책 뒷부분의 '맑스주의' 저서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소개는 이 책의 커다란 장점이다. 이진경......과거 운동권 이론가로 이름을 날렸던, 그러나 여기저기 넘나들다 각분야의 전문가에게 난타당하고 여럿 엉뚱한 행동으로(운동권 비난, 황우석 찬양등) 진보진영에서도 비난받는 등 스스로 망가지는 모습들은 그가 아직 '모색'중이다라고 넘어가기로 하자.
마지막으로 자본론에 도전할 의향으로 이 책을 구입하려 한다면, 그냥 바로 자본론으로 뛰어드는게 좋겠다. 그리고 이미 자본론을 읽어본 사람들은 수유 연구실 특유의 '은근한 자기자랑' , ' 니체식 말투' , '들뢰즈 타령' 을 거부감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면 참고용으로 '자본론' 옆에 하나 두어서 가끔 들춰보는 것도 괜찮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