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다 호기심이 생긴 번역작품들을 보관함에 담다가, 점차 번역작품 목록 자체로 관심의 초점이 이동했다. 이상한 느낌이었다. 옮긴이의 글 각각에도 틀림없이 저자의 개성과 취향이 묻어나서 김남주 개인을 느낄 수 있었는데, 나는 그보다는 전체 번역목록 자체가 훨씬 더 사적으로느껴졌다. 한 편 한 편의 글들은 그에 비하면 공적인글에 가까웠다. 그런 느낌을 받자, 나는 함부로 말해선 안 되는 느낌. 뭐랄까담벼락 너머로 옆집 거실과 안방을 슬며시 엿본 것 같은.. 일종의 죄책감 같은 것을 느꼈다. 조심스러워졌다.

 

그러다가..

 

 

 

셰익스피어 연구에 수년을 바친 선배가 교수 임용에 탈락한 후 귀농을 결심했고, 불문과를 졸업하고 프랑스로 건너가 박사학위를 받은 동창이 연구하고 가르치는 대신 가업을 이어받아 음식점을 운영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느꼈던 안타까움이 장 지오노를, 간디를 읽고 나서 새로운 기대와 긍정으로 이어졌다.

 

김을 매고 새참을 먹고 논두렁에 앉아 셰익스피어를 읽는 농부, 지극히 한국적인 요리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다뤄내는 경영자. 결국 한 사람의 경험의 총체가 그 사람이 하는 일에서 우러나오게 하는 것은 얼마나 신나는 일인가.

 

시간이 모는 이 일방향의 수레를 타고 이 세상을 지나 당도할 곳이 어딘지 알 수 없지만, 내 모든 경험과 생각이 합당한 질료가 되어 좋은 이동을 할 수 있기를!

 

 

 

이라는 글을 발견하자 뭔가 안심이 됐다. 묘한 죄책감은 사라졌다. 그것은 아마도 번역목록이 내가 생각한 만큼 순수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맞다. 저자의 저 말이. ‘한 사람의 경험의 총체가 그 사람이 하는 일에서 우러나오는 일의 신남’. 그게 그대로 느껴졌다. 그러고 나니 5장이 가장 마음에 든다.

  

 

 

 

 

공허감이 찾아 들었다. 주변의 다른 것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허무감이 검은 안개처럼 다시 나를 감쌌다. 소설을 전부 읽은 후, 나는 얼른 카페에서 나와 집으로 향했다. 거의 집 근처에 다다랐을 무렵, 왼쪽 앞의 모퉁이에서 갑자기 꺅! 엄마야! ! 하는 소리가 들렸다. 놀라서 빠른 걸음으로 가보니 대여섯 명의 여자들이 놀란 얼굴로 서로를 바라보고 서 있었다. ‘저기 아이스크림 냉장고에 쥐! !’ 그 중 한 명의 말이 어떤 상황인지 짐작케 했다. 모퉁이에는 슈퍼가 하나 있는데(나는 거의 가지 않는), 친구들끼리 거기서 아이스크림을 사려다가 움직이는 쥐를 발견한 모양이었다. 그런데, 그녀들의 표정. 물론 깜짝 놀라긴 했겠지만, 친구들이 함께 있었기 때문이었을까.. 즐거워 보이기까지 한 밝은 표정들. 웃는 얼굴들. 서로를 보며 안도했다는 표정들.

 

그 사건의 현장(?)을 지나 몇 걸음 걸은 후에 깨달았다. 살인자의 기억법을 읽고 내게 달라붙었던 공허감이 거의 사라져버렸음을. 허무감이 엷어졌음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