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릿광대의 나비
엔조 도 지음, 김수현 옮김 / 민음사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1.

작가? 뜨개질? 악기? 그게 무엇이 되었든 무언가를 자유자재로 갖고 놀 수 있는 사람은 늘 부럽다. 팀 버튼 전시회에 가서 「빈센트」라는 짧은 애니메이션을 봤는데,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인 7살 빈센트는 그 또래 아이들이 보는 동화는 안 보고 에드거 앨런 포를 탐독한다. 팀 버튼 자신의 어린 시절을 나타냈다고 하는데.. 전시된 수많은 드로잉과 완성된 작품들을 보니 처음부터 끝까지. 정말 이 남자. 팀 버튼. 에드거 앨런 포를 제대로 갖고 놀았구나. 하고 감탄하게 된다. 그런데 에드거 앨런 포의 세계관을 가져왔으되 똑같지는 않다. 그가 그린 캐릭터들은 어딘가 귀여운 데가 있다. 신체의 일부분이 엄청 과장되어 있는 그의 캐릭터들은 푸동푸동 솜인형처럼 꼭 껴안아주고 싶은 충동이 생긴다. 20대 여성들이 여기저기서 꺅꺅거린다. . 정말 귀여워. 피칠갑한 괴물 캐릭터를 보면서 그런다.

 

오늘 아침 이불을 뒤집어쓰고, Andy McKee의 「Rylynn」에 꽂혀 유튜브 동영상을 계속 돌려 보았는데, 역시나.. 기타를 갖고 노는 모습이 정말. 감탄이 절로 나온다.

 

이 소설의 저자에게서도 이 두 아티스트와 비슷한 점이 느껴진다. 저자에게는 아마도 언어가 그 놀이 대상일 텐데언어를 적재적소에 잘 사용하는 보통(?)의 놀이 말고, 언어의 구조와 논리를 마치 레고조립하듯 갖고 노는 기술. 그게 보통이 아니다.

 

2.

앞과 뒤가 같은 모양인 자수는 세계적으로 종류가 꽤 있지만 요즘 들어 앞뒤로 다른 모양이 나타나는 자수는 놓을 수 없을까 흥미가 생겼어요. 그냥 모양을 바꾸기만 하는 건 할 수 있어도 그것뿐이 아니라 어떤 미묘한 구속이랄지 틀이랄지 규칙 같은 게 있을 것 같아서요. 머리보다 몸에 넣어 버리는 편이 빠르니까요.”

 

두 편의 중편에 나타나는 많은 중의 하나가 모로코의 페즈(Fez)에 자수를 배우러 가서 한 이 말의 결과가 이 소설이다. 언어의 미묘한 구속, , 규칙 같은 것을 갖고 논 결과. 이런 소설이 나온 것. 많은 현대 소설처럼 이 소설도 이야기의 요약은 무의미해 보인다.

 

3.

중요해 보이는 것은

자수를 할 수 있음으로써 생성되는 것은 이야기나 캐릭터, 이 소설을 좋아하게 될 독자는 아니라는데 있다. 작가 자신. 나 자신.

생성되는 것은 라고 지칭되는 소설 속 누군가가 아니라 이쪽의 인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12-23 23: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12-24 11:2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