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코스텔로
존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들녘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8개의 레슨과 1개의 후기로 되어 있어 레슨 1의 분위기를 파악하면 나머지는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결과적으로는 그렇지 않았다. 레슨 6 까지의 분위기와 남은 7, 8 레슨의 분위기가 사뭇 달랐고 후기는 또 완전히 다른 분위기였다. 나가수의 가수들이 하는 것처럼 하나의 곡을 록으로 펑크로 포크로 부분부분마다 다르게 편곡한 느낌이다.

 

읽는 내내 불안 불안했다.

싸움은 어디서 하는 게 유리한가? 싸움이라고 하니 너무 거친가? 축구나 야구경기라고 해 보자. 어딜까? 당연히 홈 그라운드다. 홈 그라운드에서 우리는 보다 여유롭고 유연할 수 있다. 원정경기는 컨디션 유지도 힘들뿐더러 환경이 낯설어 홈경기보다 훨씬 어렵다. 젊은 사람들에게도 그러한데, 여기 이 늙은 저명한 소설가 엘리자베스 코스텔로의 여정을 보라. 안쓰럽기까지 하다. 호주에서 미국으로, 아프리카로 가는 크루즈 선상에서, 아프리카에서, 암스테르담까지 가서 연설&강의를 한다. 그녀가 거기서 만나는 사람들은 아들(아들 또한 100% 그녀 편은 아니다)을 제외하고는 전부(며느리나 언니까지 포함해서), 어느 모로 보나 정치적인(언제라도 적대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이다. 잠재적 적 앞에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 물론 우리는 안다. 허나 그녀는 지식인 소설가다. 그것도 저명한. 사람들이 저명한 소설가에게 듣고 싶어 하는 것들. 수상 연설에서 듣고 싶어하는 것들. 투사된 페르소나들. 그 각각의 페르소나를 열심히 연기하는 것에 대해 그녀는 뭐랄까. 나도 이제 이만큼 나이 들지 않았나. 그 사람들과 얼굴 붉히는 것이 뭐 그리 중요한가. 라고 생각하고 있다. 정면으로 불꽃 튀기기도 하지만 세련된 사교가 몸에 밴 이 지식인들은 보다 치사하고 추잡하다 obscene. 그래서 냉소와 비아냥, 정면 반박들이 날아든다. 타자의 말들이 면도날처럼 도끼 날처럼 쉭 하고. 물론 그녀도 꽤 만만치는 않다.

 

그녀는 강연에 선 자신의 모습을 엔터테이너. 라고 지칭하며 스스로를 조금은 비아냥거린다. 그렇다. 그녀는 나는 소설가다. 라는 것을 확실히 인식하는 사람이다. 레슨 8에서 저승의 염라대왕의 판결을 받는 듯한 장면(이라고는 하지만 소설 속에서 화자가 말하듯 확실히 카프카적 공간으로서의 법정이나 성 같은 분위기)에서 그녀는 스스로를 소설가로 규정짓는다. 그런데도 나이 들어 엔터테이너 역할을 해야 한다. 더더군다나 힘든 것은 타자들이 기억하는 엘리자베스 코스텔로는 옛 대표작으로 고정된 캐릭터일 뿐이다. 그녀의 생각은 젊었을 때의 그것은 아니다. 스스로의 확신이 변해가고 있음을, 그것이 나이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것들 때문인지 확신하진 못하지만 틀림없이 그것을 알고 있다.

 

위태위태함이 소설 전반의 분위기를, 배경을 만들고 있다. 배경이라기 보다는 실은 이 분위기를 전면적인 주제로 삼고 싶었던 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 느낌은 스멀스멀 끊이지 않는다.

 

그렇지만 레슨이다. ‘무엇이 있을 터이고 그 무엇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리얼리즘과 탈식민주의, 동물해방, 그리스도교적인 것과 그리스적인 것, , 에로스, 심판 등에 관한 서로 다른 견해들이 강연되고 질문되고 답해진다. 하지만 실은 무엇 하나 똑 떨어지게 정리되거나 종료되진 않는다. 마침표는 없다.

 

레슨 1 <리얼리즘>과 후기 <레이디 찬도스, 엘리자베스의 편지>에서 특히 느껴지는 것 한 가지가 나름 정리한 이 소설의 무엇이다.

 

리얼리즘의 잔인성에 대해 말한다. 추잡하다 obscene. 라는 말을 사용하면서까지. 그러면서도 경외한다. 아이디얼리즘의 동어반복에 대해 말한다. 추상적인 어휘들이 갖는 거대한 동어반복. 상투성, 효과가 사라진 낱말들에 대해 얘기한다. 이 모순이 소설에서 화자가 얘기하고 싶은 그 무엇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상투적인 말로 씨줄과 날줄의 관계일 수도 있고 아래와 것과 위의 것(메타적인 것)의 관계일 수도 있지만, 소설을 창작해 나가는 데 있어 어느 것 하나도 쉽게 포기할 수 없는 것들. 정도의 문제일까? 서로간의 비율의 문제? 그럴 수도 있고 전혀 아닐 수도 있겠지. 근대 소설의 속내, 그리고 창작으로 인한 주체의 삶의 구성의 문제가 새삼스럽게 신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