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루클린
콜럼 토빈 지음, 오숙은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일리시가 뉴욕에서 겪는 것들. 내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기이한 노스텔지어에 휩싸이고 말았다. 브루클린의 아일랜드계 교회에서 열리는 무도회, LA로 연고지를 변경하기 전의 다저스(50년대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에서는 아직 LA다저스가 아니라 브루클린 다저스) 홈 경기, 코니 아일랜드에서의 해수욕, 브루클린 칼리지에서의 야간 학습, 야학을 끝내고 하숙집까지 돌아오는 길, 친해지기 어려운 하숙집 주인과 하숙생들, 세일하는 스타킹을 사기 위해 스토어로 몰려드는 인파들… 그래서 이 소설은 아마도 아일랜드 이민자들에게는 직접적으로 향수병을 불러 일으킬 것이고, 아일랜드인이 아니더라도 옛 추억을 더듬거릴 나이의 모든 이들에게 청춘의 한 시절을 고스란히 보여줄 것이다.
하 진의 단편보다 훨씬 지역적이고 시대적인 분위기가 물씬 나는 풍경들. 토이 카메라로 찍은 주변부가 어둑한 옛 사진 같다. 인물들이 풍기는 분위기도 다르다. 하 진의 인물들이 나쁘지 않은 사람들임에 반해 콜럼 토빈의 인물들은 착한 사람들이다. 나쁘지 않은 것과 착한 것의 차이점, 리얼리스트와 로맨티스트의 차이.
크게 세가지 사건이 발생하는데, 그 사건들을 간단히 언급하는 것만으로도 소설 전체의 스포일러가 되어 버릴 것이다. 그만큼 소설의 스토리는 단순하다. 하 진의 단편 하나가 장편소설 같았던 것에 비하면 이 작품은 스토리로만 보면 단편소설 같다.
느낀 것이 노스텔지어였다면, 본 것은 무엇이었을까? 아일랜드에서 브루클린으로, 다시 브루클린에서 아일랜드로 장소가 바뀔 때의 아일리시의 태도에서… 사람에게는 참 떼어내지 못하는 ‘관성’이 있음을… 어렵게 ‘처음’을 겪은 후에 우리가 얼마나 현실에 쉽게 익숙해지는 지를.. 그리고 또 얼마나 ‘새로운’ 처음을 갈망하게 되는지를 보게 된다. 하. 사랑은 삶은 그래서 또 다른 이야기들을 풀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