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프 홀 1 - 2009년 맨부커상 수상작
힐러리 맨틀 지음, 하윤숙 옮김 / 올(사피엔스21)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자기 욕망을 드러내는데 서슴없는 캐릭터들의 각축장이다. 잉글랜드의 왕 헨리8세부터 저 어린 시종 마크까지. 그 중심에 ‘그’ 토머스 크롬웰이 있다.
힐러리 맨틀은 비트루비우스의 <극장에 관하여>라는 작품 서두의 인용문을 통해 초반부터 벌써 소설의 목적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즉 스타일에 대한 팁을 던져 준다.
비극, 희극 그리고 풍자극. 작품을 읽으면 ‘그’ 크롬웰의 생각 부분은 주로 서사적 묘사로, 울프들의 거친 숨소리 같은, 때론 교활하기 그지없는 여우 같은 인간의 본성이 서로 불꽃을 튀기며 경쟁하는 부분에서는 ‘대화체’로, 마치 ‘희곡’처럼 쓰여져 있음이 분명히 보인다. 소설적인 부분에서는 진중하고 치밀하고 회상적인데 반해, 희곡적인 부분에서는 신랄하고 미묘하며 현재적이고 심리적이다. 대립된 인물들간의 대화에서 그들의 은밀한 욕망과 처한 지위, 맛봐야만 하는 치욕, 승리감에 젖은 오만함 같은 것들을 날것으로 대하게 된다.
태생적 지위로서 아직 ‘왕’과 ‘귀족’이 있는 시대였지만, 근대적인 ‘지식’으로 무장한 크롬웰을 위시한 상인계급들은 또 다른 권력의 중심 ‘교황’을 헨리8세의 앤 불린에 대한 사랑(또는 욕망)을 발판 삼아 해체시키고 만다. 마지막에 토머스 모어(이 소설에서 그나마 내가 사전지식으로 알고 있던 거의 유일한 인물. 바로 유토피아의 그 모어)의 참수형으로 이 승리는 (비록 토머스 크롬웰도 결국 반대파에 의해 죽음을 당하게 된다는 것을 나는 위키피디아 검색을 통해 알게 됐지만, 더 긴 시간으로 본다면 결국 토머스 크롬웰의 승리는 역사적 대세가 되고야 만다.는 것도 안다.) 절정에 이르는데, 이 모든 대결은 무대 위에 있는 사람- 소설 속 등장인물이자 역사적 인물들인 그들뿐 아니라 거의 비슷한 배경에서 비극, 희극, 풍자극을 채 인식하지도 못하면서 연기하고 있는 우리도 그들과 다르지 않음을 명징하게 자각하게 한다.
메멘토 모리.
그 격언이 어둠 속 짙은 안개가 되어 나를 휩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