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리 21
가라타니 고진 지음, 송태욱 옮김 / 사회평론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작품 <안개바다 위의 방랑자>. 바위 위에 서서 안개 바다를 보고 있는 한 남자를 볼 때, 느껴지는 감정. 세상의 험하고 거친 파도를 꿋꿋이 헤쳐 나갈 것 같은 단독자의 모습과 한없이 외로워 보이는 그저 한 남자의 모습. 두 개의 이미지가 겹쳐져 결국 내 안에 작은 신화로, 아우라로 각인된다.
가라타니 고진의 이 책은 칸트의 철학을 지팡이 삼아 일본의 전후 전쟁책임 문제를 다루고 있다. 칸트의 윤리는 칸트식의 자유 개념이 그 핵심에 있다. 가라타니 고진은 먼저 ‘구조’를 인정한다. 세상에서 벗어날 수 없는 존재로서의 인간. 설사 지금부터 로빈슨 크루소처럼 무인도에 살아도 과거 내가 배운 것들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서의 인간 말이다.
그런 구조 하에서 우리의 자유는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에 칸트를 빌려 고진은 말한다. 자유는 구조를 배제하고(괄호치기 하고) 사물과 삶을 대하는 태도다. 즉 당위다.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하는 것.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대해 내가 손해를 보고 사회로부터 왕따를 당하고 외로워지더라도 나는 자유로워져야 한다.
마치 니체의 ‘위버맨쉬’ 같다.
딱딱하고 어쩌면 너무 거창하기도 한 칸트의 자유개념은, 그러나 내가 아는 자유로운 사람들, 거창하거나 딱딱하지 않은 소로우나 조르바에게 너무 잘 어울리는 말이다. 자유의 당위를 어깨에 짊어야 할 무거운 짐으로 여기지 않고 자전거 마냥 여기는 자세. 그런 것이 나에게는 필요하다.
페달을 밟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