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일기
알베르토 망구엘 지음, 강수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수 년째 블로그에 독서리뷰를 써 오고 있지만, 글쓰기 솜씨는 그대로..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는 기분입니다. 그 원인(요즘은 ‘원인’들 때문에 여러모로 고민이 많다. 포텐셜 엑스, 바이탈 퓨 엑스.. 식스시그마 때문에)을 나름 분석해 보면, 책 한 권에 리뷰 하나라는… 블로그 초기부터 이어져온 나름의 규칙 아닌 규칙도 여러 원인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독서 행위는 무엇보다 ‘과정’이고 ‘길’이며 ‘삶’입니다. 한 권의 책을 읽더라도 앞부분과 뒷부분에서 느끼고 배우는 것이 얼마든지 다를 수 있고 그날 그날 내게 생긴 일에 의해서도 감상은 저 밑바닥에서 기거나 푸른 하늘 위에서 훨훨 날기도 하지요.

그러니 책 한 권을 통독하고 꼬랑지에서 감상 몇 줄 남기는 것은 ‘정리’라는 측면에서는 유용할지 모르나 그날 그날의 저 개인의 역사(나중에 스스로 읽어보면 말이죠..)에는 아무런 자취도 남기지 못하는 행위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바로 이 책 <<독서일기>>를 읽고 나니 이런 생각이 듭니다. 한 권의 독서 후에 한 편의 독서리뷰도 나쁘지 않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긴 하지만, 읽다가 그만뒀거나 미뤄둔 책. 책 한 권 전체로는 얘기할 게 없어서 건너뛰었지만 문장 하나가 맘에 들었다면 그거라도. 또는 오늘 내가 겪은 일을 설명해주고 위로해줄 수 있는 책을 찾아 일부만을 읽더라도 말이죠. 저의 삶과 함께 뛰어 놀고 웃고 울고 센티멘탈해지고.. 그런 것들을 포함한다면 책 읽는 도중이라도 아님 읽다가 던져 놓더라도 말이죠. 얘기할 것은 얘기하고 쓸 것은 쓰자. 맘을 그렇게 먹게 되었습니다.

망구엘의 <<독서일기>>는 딱 블로그에 적합한 글쓰기 형식을 보여줍니다.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의 단편들. 개인의 취향과 사회적 역사적 맥락과의 적절한 균형감.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작가와 굉장히 친숙해진 느낌입니다. <<독서의 역사>>보다 저는 이 책이 더 좋네요. 망구엘의 책으로는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