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이 회전목마는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건지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건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건 따분한 생각이었다. 대신 나는 한국에 돌아가면 아주머니를 엄마라고 불러보는건 어떨까 하는 상상을 하기 시작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돈키호테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D로 일하던 진솔은, 프로그램 실패 후 고향인 대전으로 내려온다. 비디오 가게 아저씨로 유명했던 ‘돈키호테 아저씨’가 행방불명이라는 소식을 아들 ‘한빈’으로부터 전해 들은 진솔은, 돈키호테 아저씨를 찾기로 결심하고, 자신의 장기를 살려, 돈 아저씨를 찾는 유튜브를 개설해 추억의 영화 요약과 돈 아저씨와의 이야기를 올리기 시작한다. 유튜브가 점차 사람들의 공감과 인기를 얻어, 돈 아저씨를 알고 있는 사람들의 제보가 이어지는데, 과연 진솔과 한빈이 돈 아저씨를 찾을 수 있을지 추억과 열정 가득한 힐링 소설이다.

돈키호테를 많은 부분 인용하고 있지만, 내용을 몰라도 잘 읽히고, 응원과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문장이 많아서 좋았다. 진솔이 개설한 유튜브가 이렇게 단기간에 몇천 구독자를 갖는 게 가능한가. ?하는 의문이 좀 있긴 했다. 비디오 가게나 그 당시 영화를 기억하는 사람들에게는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겠으나, 아쉽지만 난 너무 어렸을 때라 잘 기억나지 않는다 ㅎ,, 신작이라 후기가 많지 않은 것 같은데,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읽었나 너무 궁금했다.

세브반테스의 <돈키호테>를 인생 책으로 꼽는 사람들도 있지만, 나한테는 너무 엉뚱하고 기이한 책으로 남아있다. 돈키호테는 라만차의 기사로, 과대망상을 하며 모험을 떠나는 사람이다. 풍차를 거인으로 보고 덤비는 장면이 아마 제일 유명할 것 같다. 나도 돈키호테 떠올리면 풍차부터 생각난다. 어렸을 때 읽어서 이 책에 담긴 풍자를 이해하지 못했던 것일 수도 있지만,, 너무 이상한 책이라는 인식이 박혀서 처음 제목 봤을 때도 약간,, 거리감이 있었다 ㅎ,,, 돈키호테 원문에 다시 도전해 볼 수 있을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돈키호테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키호테의 이상과 용기가 함께 느껴진 힐링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홉 단어
홍성미 외 지음 / 모모북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명의 공저가 나이, 터닝포인트, 인연, 고백, 좋아하는 것 등 아홉 단어를 두고 솔직한 이야기를 풀어쓴 에세이다. 각 주제마다 작가들이 느끼는 바가 달라서, 그런 차이점을 보는 재미도 있다. '인연'이라는 키워드를 놓고, 홍작가는 아르바이트 시절 사장님을, 류작가는 귀인과 악연을, 이작가는 소중한 친구들을, 김작가는 연연하지 않는 이별을 적었다. 이런 식으로 계속 작가가 바뀌는 방식이라, 처음엔 책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좀 걸렸지만 편안한 내용이 대부분이라 어렵지 않게 읽었다.

저자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읽었을 때도, 강사가 강의하는 내용을 적은 것 같다고 느끼긴 했는데, 역시나 강사 경험이 많은 분들이었다. 좋게 말하면, 모든 경험이 값지고 소중하다고 느끼게 되고, 반대로 말하면, 모든 경험에서 억지 교훈과 감동을 이끌어 내려고 하는 느낌이 들었다. 에세이 같은데 ,, 자기 계발서 같은 묘한 느낌 ,, ? 내가 아직은 경험이 좀 부족해서 공감을 제대로 못했나, 싶기도 했다. 저자와 비슷한 경험을 했거나, 30-40대 여성이 읽으면 더욱 공감도 되고, 응원도 얻을 만한 내용인 것 같다. 단단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는 것은 언제나 나한테도 힘이 되니까! 멋진 여성들의 에세이 찾는 분들께 추천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짜 노동 - 적게 일해도 되는 사회, 적게 일해야 하는 사회
데니스 뇌르마르크 지음, 손화수 옮김 / 자음과모음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짜 노동>이 ‘스스로 만드는 번아웃의 세계’를 주제로, 의미 없는 회의와 비효율적인 페이퍼, 보여주기식의 노동을 담았다면, <진짜 노동>은 비판적 감각의 재건을 통해 ‘적게 일해도 되는, 적게 일해야 하는 사회’를 주제로 한다. ​

직원을 대상으로 명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조직은 구직 광고에서부터 차이가 난다. 직업과 일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다. 이어서 직원들에게 필요한 자원과 도구, 방해요소, 직원과 관리자의 관계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진부하긴 해도 막상 직원들과 생산적인 대화를 잘 나눌 수 있는, 책임을 지고 신뢰를 쌓을 수 있는 관리자는 많지 않다.

또한, 공공기관을 비롯한 사기업의 관료주의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내가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어서 더 공감이 간 부분이다. 해외 사례가 많아서, 대부분 탑다운인 한국 기업에 적극적인 외부 교육 프로그램 활용이나 바텀->탑의 방식을 녹여낼 수 있는지는 의문이었지만, 기업을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보고 이런저런 생각하기에는 좋은 책이었다. <가짜 노동> 때도 느꼈지만 이 책도 쉽지는 않다,,

두 책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가짜 노동, 비효율, 관료주의가 꼭 우리 회사를 말하는 것 같아서 좀 씁쓸하긴 했지만, 내가 내 업무를 명확하게 인지하고 ‘가짜 노동’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