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짜 나를 찾아라 - 법정 스님 미공개 강연록
법정 지음 / 샘터사 / 2024년 4월
평점 :
힘을 빼고 사는 게 무척이나 힘들다. 힘이 계속 들어가 있다는 건 끊임없이 얻고 싶고, 가지고 싶고, 쟁취하고 싶은 것이 있다는 거다. 생각대로 인생이 흘러가주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인생은 꼭 반대로 흘러간다. 무슨 머피의 법칙처럼. 잘 살기위해 고군분투 했던 시간들이 잘 살지 못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도 모른 체 그렇게 살아내다보니 마음이. 몸이 많이 지쳐 있을 때 #법정스님 말씀을 만났다. #미공개강연록 에 담긴 스님의 말씀은 무너져가는 나의 마음을 일으켜 세우기에 충분했다. 아니 넘쳤다.
법정 스님의 강연을 그대로 녹음해 풀어 놓은 글들에는 교훈과 유머와 위로 격려 지혜가 있었다.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스님의 말씀을 따라 읽다보면 저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다. 오랫동안 담고 싶은 문장을 포스팃으로 붙이고 필사노트에 옮겨 적었다. 한번 읽고 흘러 보내기에는 너무 귀한 말씀들이기에. 마음이 헐렁해질 때마다 꺼내 볼 수 있는 #좋은말씀을 만났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510/pimg_738763150428918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510/pimg_7387631504289181.jpg)
"그대들은 입버릇처럼 도를 닦아 진리를 깨닫는다고 말하고 있다. 도대체 어떤 진리를 깨닫고 어떤 도를 닦는다고 하는가? 그대들의 지금 행동에 무엇이 모자라 또다시 깁고 보태겠다는 것인가?"
말에 팔리지 말고 말 뒤에 숨은 뜻을 읽어야 합니다. 임제선사의 출발점은 본래청정, 즉 사람은 본래 저마다 자기 특성을 지닌 온전한 존재임을 전제한 데 있습니다.
스님의 말씀을 들을 때 마다 새로운 말의 의미를 배우는 것과도 같다. 도를 닦아 진리를 얻게 다고 말하는 사람들 중에 그것을 얻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까. 있는 그대로의 나. 지금의 나에 집중해야지 하고 말하는 사람은 나에 집중하라는 목적에만 매몰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본질을 모른체 지금의 나처럼.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510/pimg_7387631504289182.jpg)
남이 가진 것과 자기가 가진 것을 비교하지 마세요. 저 들판의 꽃도 저 하늘의 새도 자기를 남과 비교하지 않습니다. 저마다 자기 특성을 마음껏 드러내면서 자연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어요. 비교는 시샘과 열등감을 낳습니다. 남과 비교하지 않고 자신의 삶에 충실할 때 사람은 자기 자신답게 그리고 순수하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자신의 그릇이 있고 자신의 몫이 있어요.
불안은 비교에서 온다. 내 그릇의 있고 나의 몫이 있다는 것을 알아가는 중이다. 스님의 말씀처럼 자신의 삶에 충실할 때 사람은 자기 자신답게 그리고 순수하게 존재할 수 있다고 믿는다. 비교하는 마음을 버리려고 애쓰는 마음이 조용해 졌다. 가벼워 짐을 느꼈다. 불쑥 비교의 마음이 생겨날 때 마다 법정 스님 말씀을 되새기어 본다. 그러면 다시 마음이 고요해 진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510/pimg_7387631504289183.jpg)
행복은 어디에서 옵니까? 작은 것에서 또 적은 것에서 옵니다. 결코 큰 것이나 많은 것에서 오지 않습니다. 지극히 미미한 일상의 만족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습니다. 향기로운 한 잔의 차만 있어도 얼마든지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차를 마시면서 하루 삶에서 가장 투명하고 고마운 순간을 누릴 수 있습니다.
행복을 멀리서 찾지 않기로 했다. 스님의 말씀대로 작은 것에서 소소한 것들에서 행복의 의미를 찾아 보니 행복은 매일 항상 내 곁에 있었다는 것을 깨닫았다. 스님께서 주신 지혜로 행복이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을. 마음을 들여다보고 주위를 둘려보니 고마운 순간들이 자주 스쳐갔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510/pimg_7387631504289184.jpg)
현대인의 불행은 옛날과 달라서, 결핍이 아니라 과잉에서 옵니다. 오느날 우리들의 불행은 무엇이 없어서가 아니라 너무 많고 넘쳐서, 그걸 감당하지 못해서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는 내면에서부터 맑은 가난을 실천해야 합니다. 그래야 헛된 욕구도 욕망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내면에 있는 맑은 가난을 통해서만 삶의 진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 경지에는 아무 갈등도 없고, 어떠한 분란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기대하는 마음, 얻고자 하는 마음이 불행을 가져 온다는 것을 경험했다. 기대하는 마음은 대부분 실망의 마음으로 변했고, 얻고자 하는 마음은 결핍을 만들어 냈다. 이미 충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가지고 싶은 욕망은 불행을 불러 오기에 충분했다는 걸. 스님의 말씀을 통해 또 한번 알아간다.
깨달음을 얻기 위해 대단한 말들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스님은 말씀하신다. 그말은 누구든 알고 있는 사소한 말들에 있다. 티베트 스님이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인도를 걸어 왔을 때 사람들은 스님에게 "스님 그 연세에 어떻게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서 인도까지 오셨습니까?"물으니 스님은 이렇게 대답했다. "한걸음 한걸음 걸어서 왔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510/pimg_7387631504289185.jpg)
자주 넘어지고, 실패 하면서 내가 가는 길에 의구심이 들었다. 제대로 가고 있는 건지. 옳은 길인지. 누군가의 조언이 필요했고, 위로가 필요한 시간에 법접스님말씀이 담긴 #진짜나를찾아라 를 만났다. 그리고 책 속에서 그 답을 얻은 것 같다. 한걸음 한걸음 걸어가 보기로.
삶이 지치고 마음이 무거운 사람들에게 이 책은 많은 해답을, 지혜를 전해줄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물음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진짜나를찾아라#법정스님#좋은말씀#책추천#도서추천#샘터#샘터사
<이 도서는 샘터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