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욕은 과거로부터 나온 인용이다. 그것은 이전에 수많은 발화자에 의해 반복되었다는 바로 그 사실 때문에 의미를 지닌다. 장 주네의 시구가 잘 표현하고 있듯, 그것은
"시대 깊숙이에서 온, 현기증 나는 단어"이다. - P226

‘인식론적 특권‘이란 동성애자들이 이성애자들의 시선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고자 할때, 이성애자들이 동성애자들의 정체에 관해 확보한 지식을 마음대로 갖고 노는 방식과 관련된다. - P239

우리의 과거는 여전히 우리의 현재다. 따라서 우리는 표명되고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재표명되고 재창조된다. - P2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