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춘추전국의 전략가들 - 천하를 제패한 명재상들의 경세지략 ㅣ 인생 전환점에서 춘추전국을 읽다
장박원 지음 / 행간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참으로 많은 부분이 생각하게 하는 내용이었다. 명재상이 잘난 것인지 이를 등용시킨 임금이 잘난 것인지 의구심이 생겼다. 명재상도 시대와 왕을 잘못 만나서 성공하지 못한 케이스가 너무나 많이 보여서 이다. 차라리 본인이 왕(군주)이 되는 방법을 강구하고 나라를 잘 다스렸으면 어찌되었을까 하는 생각에 명재상보다 훌륭한 왕(군주) 새로운 나라의 왕(군주)으로 통치자가 되어서 세상을 다스렸으면 어찌하였을까 싶다. 그런 차원에서 생각하다 보니 각자의 그릇이 있었나 보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려운 시기에 많은 국가들이 생기고 없어지는 다변하는 시대에 왕을 보좌하는 명재상이라는 차원에서는 배울 점은 굉장히 많았다.
왕이 될 수 없는 시대적인 삶에서 명재상에게 배워야 할 점은 정말 많았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강대국 사이에 끼여 있는 나라가 생존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과연 누가 그런 인물이었느가를 돌이켜 보게 되었다.
본인의 안위와 호화로움을 지키는 왕과 백성을 진심으로 생각하고 왕의 차이가 무엇이며, 후세에 평에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가 생각해 본다. 세상의 역사는 이긴 자의 역사이기에 승자의 관점에서 기록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많은 점을 배울 수 있는 내용이었다.
우리나라 같은 나라에는 어떤 재상이 필요하며 무엇을 하여야 하는지 생각해 본다. 우리나라와 같은 환경이라면 춘추정국 시대의 정나라 명재상 자산을 본 받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강대국(진나라와 초나라) 사이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균형 감각을 가지고 외교력의 영향력을 발휘한 자산의 전략을 잘 본받아 이 시대를 잘 극복하고 강대국으로 갈 수 있도록 외교력을 발휘하여야 한다.
진실이 무시되는 상황에서는 거짓말하지 않고 아무 말하지 않고 헛웃음 만이 살아가는 길이다.
명재상은 머물 때와 떠날 때를 알고 있는 사람이다.
물의 정치, 불의 정치의 근본을 알고 시대와 상황에 맞게 행하여야 한다.
이 책에서 주는 교훈은 재상의 기본도 중요하지만, 군주를 잘 만나 어떤 정책을 펄쳤는가를 배워야 한다.
또 한편으로는 군주에 대하여 잘 아는 것이 더 중요하며 그런 군주가 어떤 이념으로 인재를 등용하여 정책을 운영하였는지 궁금증을 유발한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어려운 시기일수록 현명한 군주와 함께 명재상이 나와 나라를 융성하게 발전시켜 주었으면 좋겠다.
나는 명재상인가 군주인가?
어느 쪽이든 융성한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 무엇을 갖추어야 하며 실행하여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