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인함의 힘 - 회복탄력성에 대한 오해 그리고 강인함의 비밀
스티브 매그니스 지음, 이주만 옮김 / 상상스퀘어 / 2024년 3월
평점 :
좋은 말은 다 써 좋은 내용처럼 보인다 그러나 근본적인 개념이 없다는 것이다.
폭력적이거나 강압적인은 거짓 강인함이라는 말은 맞다.
그럼 정말 강인함은 무엇인가 생각해 보게 한다. 좋은 말 및 여러가지 의견은 제시하였으나, 정말 강인함이라 말 할 수 있는가는 궁금하다.
개념은 잘 모르지만 강인함에 대하여 이것저것 이야기 한 것은 맞다.
이러저런 이론 및 사례를 들어 놓은 다음 그냥 강압적으로 이것이 강인함이다 하는 생각이다
즉 제시한 것과 강인함과 무슨 관계이지 생각하게 한다
강인함을 기르는 4대 원칙
허세를 벗고 현실에 즉면한다
몸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인다
바로 대응하지 말고 대응한다
괴로움은 더 큰 나를 만날 기회이다
의식이 탈출 버튼을 누른 것처럼 현재 경험과 단절하는 현상을 해리라고 한다.
강인한 사람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그에 맞는 수핸 능력을 사실 그대로 평가하는 사람이다.
현실에 대응하는 사람은 적절한 목표 설정하고 성공기준과 기대치를 명확하게 정한다.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방안 모색 사전에 마음에 준비가 된 사람이다.
강인함이란 기계적인 반응에 결박당하지 않고 선택지를 늘려가는 일이다.
홀로 마음에 머무는 기술은 강인함을 가르는 기초 단계이다.
몇가지만의 중요한 세계가 펼쳐지고, 그 외에 다른 자극을 차단하는 것은 무주의 난청이라 한다.
사이비 종교 지도자가 사람을 통제해 자신에게 의존하게 하는 법은 보상이라는 수단을 통한 통제, 조건부 관심, 협박과 고립, 과도한 사생활 통제 이다.
지도자는 방향을 가르키고 길을 안내할 뿐이고, 결국 실천에 옮기는 주체는 선수 개인이다.
성장을 꿈꾸는 것은 인간의 기본 욕구이다.
직원이 성장하고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조직은
도전하는 직원을 격려하는 환경
두려워하지 않고 위험을 무릎쓰고 소신있게 건의할 수 있는 환경
자기 업무 또는 직종에서 성장하고 역량을 기르며 진급할 수 있는 환경
의미있는 삶을 찾는 열쇠는 일, 경험, 고통(자신의 운명과 그에 따르는 고통을 기꺼이 받아드리는 일도 하나의 성취이다)이다.
통합력은 이해력 관리력 의미부여이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존재하라, 그것이 진정한 강인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