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519
박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집을 읽기란 쉽지 않다
학생시절 국어 수업 시간에 시를 외워 평가하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 학생들은 시를 하나 골라 발표하고 느낀점을 이야기 하는식으로 평가한다.
그런데도 시는 좀처럼 읽기 쉽지 않다.

전작의 성공으로 출판사를 바꿔 나온 시인의 신작은 전작을 같이 사서 함께 읽으려 했는데 쉬 손이 안간다.

시는 저절로 입속에서 중얼 거리듯 저절로 외우게되는 맛이 있어야 음미 하듯 꼭꼭 씹게되는데 근래 읽어본 시집이 드물어 더욱 시집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더욱 읽으려고 구입 했는데 역시 읽어내기가 쉽지 않다
그만큼 시 라는 장르를 접하기가 읽어내기 어려운 현재의 상황이 안타까울 뿐이다.

지방에서 몇칠 일하고 올라오는 내내 버스속에서 곰곰히 생각 해본 싯구절 ˝어떤 빚은 빛으로 돌아온다˝라는 말이 입에서 계속 맴돌아 집에 오자마자 시집을 다시 펼쳐봤다.

사계를 주제로 삼은 시인의 말 한마디 한마디 를 꼼꼼히 읽으려 했지만 눈 앞에 보이는것은 글자요 넘어가는 것은 종이다
왜 일까?

그토록 아련하게 눈에 선하던 시집 이었는데, 감정의 문제 일까?
불편한 잠자리, 낯선 새벽 공기,보고싶은 얼굴을 생각하며 떠오른 시인 이었는데 막상 집에오니 그런 감정이 안 생긴다
역시 시 는 멜랑 꼴리할때 읽어야 제대로라는 생각이든다.

시인의 첫 작품
아무래도 처음 나오는 시가 의미 있어서?

ㅡ선잠 ㅡ

그해 우리는
서로의 섣부름이었습니다

같은 음식을 먹고
함께 마주하던 졸음이었습니다

남들이 하고 사는 일들은
우리도 다 하고 살겠다는 다짐이었습니다

발을 툭툭 건드리던 발이었다가
화음도 없는 노래를 부르는 입이었다가

고개를 돌려 마르지 않은
새 녘을 바라보는 기대였다가

잠에 든 것도 잊고
다시 눈을 감는 선잠이었습니다

얼핏 잠 들었나 하는 찰나의 순간에 행복은 말할수 없다 경험해 보지 않으면 잘 모르듯이 그런 선잠같은 존재를 다시 한 번 생각 해보며 역시 떨어져 있어야 소중한 줄을 안다
나 만 그랬나!

제목이 들어간 시

장마ㅡ태백에서 보내는 편지

그곳의 아이들은
한 번 울기 시작하면

제 몸통보다 더 큰
울음을 낸다고 했습니다

사내들은
아침부터 취해 있고

평상과 학교와
공장과 광장에도
빛이내려

이어진 길마다
검다고 했습니다

내가 처음 적은 답장에는
갱도에서 죽은 광부들의
이야기가 적혀 있었습니다

그들은 주로
질식사나 인사가 아니라
터져 나온 수맥에 익사를 합니다

하지만 나는
그 종이를 구겨버리고는

이글이 당신에게 닿을 때쯤이면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라고 시작하는 편지를 새로 적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져버린 사람들의 이야기에 이제는 희미해진 모습 그저 기억속의 표정과 얼굴로 떠오를 뿐이다
태백 하면 그냥 돌아가는 주사위,패가망신이 생각 나니 내 감성도 이제는 메마른듯 그저 장마를 함께 볼수있다는 생각을 해봤는데 이제 장마 라는 개념도 없어지고 있으니 세상은 온통 소멸 그 지체가 답인 살아남기 힘든 세상이다.


아버지라는 말이 가끔 생각난다 그래서 더욱 의미있게 읽힌

ㅡ종암동ㅡ

좀처럼 외출을 하지 않는 아버지가
어느날 내 집 앞에 와 계셨다

현관에 들어선 아버지는
무슨 말을 하려다 말고 눈물부터 흘렸다

왜 우시냐고 물으니
사십 년 전 종암동 개천가에 홀로 살던 할아버지 냄새가 풍겨와 반가와서 그런다고 했다

아버지가 아버지,하고 울었다

아버지 하면 생각 나는 일화 하나 어느날 문득 이불 한 채 던져주며 가시던 모습이 생각난다 겨울 즈음에 오리털 이불 이라며
또 하나 술만 드시면 이야기 하던 쓸테없는 잔소리들 이제는 듣고싶어도 들을수가 없다
그런 잔소리를 지금은 두 딸에게 하고 있으니 기가 막히다.

시인의 시를 읽으면서 다시 시 라는 장르를 생각 해봤다
가슴속 깊숙히 페부를 찌르는 언어의 무기에 옛 추억을 떠올릴수 있다는 것은 가성비 최고 인듯 앞으로 시집을 좀더 많이 읽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