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노자도 까기- 사실 스피노자 모르면 이 장도 완전히 필이 오기 힘들다. 느낌으로는 스피노자의 자기보존 본능은 무언가 위축된 느낌이다. 하지만 니체의 유기체는 기본적으로 발산하고 뻗어나가려고 한다. 근데 여기서 스피노자가 어떤 “목적론적 원리”를 말한걸까? 생명 그 자체는 힘에의 의지라는 개념을 어떻게 니체는 떠올린 걸까? 자연을 관찰해서?

좀더 곱씹어 보고 싶다 생존자체가 목표가 된 지금 니체의 힘의지는 나의 등을 떠미는 것 같다 움직이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1장 에서 칸트 한번 까고 이번엔 영혼애기다. 이러한 믿음을 이제 추방해야 한다. 하지만 영혼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 영혼 가설을 더 세련되게 만든 “사멸하는 영혼” “주체복합 의 영혼” 같은 개념들이 등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걸 “발명”한 새로운 심리학자는 그걸 “발견”했다고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칸트가 말했다. 최면의 힘이 있기 때문에 감각을 재운다고. 칸트는 자부심에 차 말했지만 선험적 종합 판단은 그냥 동어반복이다. 그는 선험적 종합판단”을 발견한게 아니라 발명한 것이다! 우리는 이제 선험적 종합판단이 가능한가라는 질문보다 왜 그런 판단이 필요했는가에 대해 질문해야한다. 그 판단은 잘못된 것이다. 하지만 삶의 “관점주의적 시각”을구성하는 믿음 중 하나로서 그 진리에 대한 믿음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상에 맞서는 리얼월드를 찾는 진리에의 의지. 하지만, 니체는 이 의지가 “한 수레의 아름다운 가능성보다 한 줌의 확실성만 추구하는 “ 지친 영혼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니체가 진리를 포기한 걸까? “가상에 맞서는 관점주의자” 라는 표현에서 그가 진리 그 자체를 포기한 것 같지는 않다. 관점주의자는 당대 유행하는 실증주의 ,감각에 대한 신뢰를 포기하지만 그렇다고 예전의 “낡은 신”과 “불멸의 영혼” 으로 돌아가지도 않는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돌아가는 것이 아니고 넘어가는(beyond) 것이다! ( 이 대목에서 니체는 오히려 플라톤적이다. 실증주의니 그 때 시대상황에 대한 배경이 없어 필이 안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철학은 자신의 모습에 따라 세계를 창조하려는 가장 폭군적인 충동이다. 스토아 철학을 보라. 그들은 심지어 자연에게조차 자신들의 도덕을 강요하려 한다
“자연이란 한없이 낭비하고 한없이 냉담하며 의도와 배려가 없으며 자비와 공정함도 없고 풍요로운가 하면 동시에 황량하고 불확실하다.” 반면 “ 삶이란 평가하는 것 선택하는 것 부당한 것 제한되어 있는 것, 다르게 존재하고자 함이 아닌가?” 그런데 어떻게 자연에 “따라” 산단 말인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진리가 아니다라는 말은 진리인가 아닌가 수준이지만 위의 니체의 자연에 관한 관점도 니체의 “자기고백”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