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인수업 - 나를 넘어 나를 만나다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은 워낙 책들을 안 읽어서 해당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소싯적에 한 번쯤 빠지는 작가로 소설가는 이상이나 하루키, 철학자는 니체가 있는 것 같다.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내용은 둘째 치고, 책표지는 얼마나 익숙한가! 게다가 니체처럼 설왕설래하는 철학자도 드물터, 누군가에게는 삶을 찬양하는 생명의 철학자로 누군가에는 매독걸려 끝내 발광한 미치광이의 헛소리다. 아마도 니체강의의 최고라고 알고 있는 고병권씨는 지금 돌이켜보면 약간 문학적인 강의를 한 것 같고, 아마 정통파 연구자라고 하면 가장 다빈도로 등장하는 저자가 박찬국씨같다. 쉬운 문장으로 쓰여진 책인데 결코 쉽게 넘어갈 수가 없다. 하나하나의 문장에 저자가 오랫동안 고민한 니체의 모습이 압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무엇인가를 쉽게 설명하는 사람이 진정한 대가라고 “니체의 철학은 승화의 철학이다” “세계는 힘들이 자신을 고양하기 위해 투쟁하는 장소다”  등 자신이 얻어낸 니체철학의 정수가 담겨져 있다.

 저자가 제시하는 니체의 고갱이는 “힘에의 의지”다. 인간의 행복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결핍이 채워지며 생기는 행복인데 이는 필연적으로 권태를 불러온다. 니체가 고무하는 행복은 자신이 강화되고 고양되는 힘에의 의지가 증가할 때 느끼는 행복이다. 그런데, 이 힘에의 의지는 자신의 극복을 전제로 한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고통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어떠한 불운이나 폭력, 불행과 고통까지 자신의 강장제로 삼아 자신의 삶을 긍정하는 자- 박찬국씨가 그리는 니체의 초인이다. 하지만, 인간의 삶에는 한계가 있는바 필연적으로 니체는 자살을 긍정할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하지만 쉬운 문장으로 쓰여졌지만 곱씹어 읽어야 한다. 그럴때에만 이 책의 내용이 와 닿을 것 같다.    


    p.s. 단일한 세계관으로 세상을 설명한다는 것이 이제는 위화감이 느껴진다. 모든 것이 그렇게 매끄럽게 설명될 리가 없지 않은가. “힘에의 의지” 역시 추상적인 하나의 개념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