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당겨 쓰는 일 콩콩동시 33
김주안 지음, 이현정 그림 / 소야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을 당겨 쓰는 일』/ 김주안 동시집/ 소야주니어/ 2024

소소하게 읽는 즐거움을 주는 동시집을 만났다. 내 집 이야기 같고, 우리 가족 이야기 같고, 내 이야기 같은 우리 주변 어디서나 있을 일어나고 있을 것 같아 공감이 많이 가는 동시집이다.

청주에서 활동하는 김주안 시인은 2022년 한국작가회의 <내일을 여는 작가> 동시 부문에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다. 한국동시문학회, 한국작가회의, 푸른아동청소년문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시간을 당겨 쓰는 일』이 첫 동시집이다.

반을 잘라봤다

씨앗 속에 뭐가 있나 보려고

작지만 보인다

단감나무 한 그루

- 「단감 씨앗」 전문 (12쪽)

어떤 모양인지가 머릿속에 또렷하게 떠오르는 시다. 시골에 살았던 사람들은 감 씨를 많이들 잘라봤을 것이다. 어릴 때 우리는 감 씨앗 속에 든 것을 밥숟가락이라고 불렀는데 시인은 ‘작은 단감나무’로 봤다. 시인의 가진 마음의 눈이 이미 작은 씨앗을 큰 단감나무로 키워놓았다.

아버지는 소파에 누워 TV와 하나가 된다

엄마는 바쁘게 집안정리 마치고 침대와 하나가 된다

핸드폰과 이어폰이 연결되면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누나는 댄스 동영상 찍느라

문 걸어 잠그고

나는 게임으로

오늘도 시간 가는 줄 모르는 밤을 맞이한다

밤이 되면 우리 집은 섬이 된다

방 하나하나

외딴섬

- 「외딴섬」 전문 (50쪽)

이 동시는 어쩌면 이 사회의 현실을 고발하는 그런 동시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지금 이 시간, 많은 가정에서도 기러기 날지 않는 외딴섬이 펼쳐지고 있을 것이다. 어쩌면 서로의 공통된 관심사가 없어서 일 수도 있고 각자의 취향이 너무나 달라서일 수도 있겠지만 가족 간에도 서로서로 각자의 시간을 존중해 주고 간섭받는 것을 싫어하다 보니 점점 더 외딴섬으로 굳어지게 된 게 아닐까 싶다. 그 외딴섬에 다리를 놓는 일, 모두 나서야 가정이 평화롭다.

겨우내

따뜻한 비닐하우스에서 모종을 키운다

상추, 쑥갓, 고추, 오이

씨 뿌리고 물 주며

자식처럼 길러낸다

미리 봄을 당겨본다

- 「시간을 당겨 쓰는 일」 전문 (95쪽)

표제작인 「시간을 당겨 쓰는 일」이다. 하우스 농사가 많은 요즘, 계절의 구분이 없다. 겨울인 지금 딸기 맛이 최고다. 상추, 쑥갓, 고추, 오이 등 거의 모든 채소가 일 년 내내 마트 야채 코너에 자리하고 있으니 막상 봄이 되고, 여름이 되어 제철에 나오는 과일이나 채소에 크게 감동하는 일이 드물어졌다. 농부의 땀으로 앞당긴 계절, 마트에 가면 채소 하나 살 때라도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겠다.

몇 편을 소개하는 것으로 짧은 리뷰를 끝냈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읽다 보면 ‘아하! 그렇지’, ‘정말 그렇네’ 싶은 시가 많다. 독자의 공감을 처음부터 끝까지 끌고 간다는 것은 싶지 않은데 『시간을 당겨 쓰는 일』에 그게 된다. 작가의 시에 장단을 맞춰 주는 일, 읽는 재미가 저절로 그렇게 되는데 소소하게 읽는 재미가 이 동시집에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다.

#시간을당겨쓰는일

#김주안동시집

#소야주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