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이 몸에서, 이 생에서 - 티베트에서 보낸 평범한 삶, 그 낯설고도 특별한 일 년
쑨수윈 지음, 이순주 옮김 / 에이지21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다른 나라 사람들이 한 없이 욕망과 야망을 추구하며 살 때 이들은 황야의 보호를 받으며 평화와 기쁨 속에 산다”


티베트에는 구름을 흩뜨려트려서 우박의 피해를 줄이려는 고사포와 날씨를 관장하는 무당이 공존한다. 현대적 의학을 전공한 의사가 있으며, 그 의사가 못 고치는 병을 관장하는 무당이 있다. 조장[鳥葬]의 풍습이 있으며, 형제끼리 아내를 공유하기도 한다. 자신이 번 모든 돈을 탕진할 만큼 술을 좋아하기도 한다. 작가는 락진씨네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서 티벳의 평범하지만, 특별한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무당 체텐, 그리고 형 로가와 돈단, 그리고 세 남편의 아내, 양드론, 그들의 아버지 밀라, 그리고 3형제의 자식들과 락진씨네 동네 이웃들의 삶을 통해 아름다운 티벳의 특별한 일상이 취재되었다.


우리가 편리하다고 여기는 문명의 이기[利器]와 경제적인 풍요가 사람의 행복을 전적으로 책임지진 않는다. 티베트인은 중국이라는 나라 속의 소수민족중의 하나다. 전통적으로 불교를 믿어왔다. 우리나라 에서는 ‘달라이라마’를 비롯한 책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중국이 티베트 독립요구를 무력으로 진압하여 세계적인 이목을 끌고 있다. 중국은 일관되게 중국내 소수민족의 자치와 독립을 허용하지 않으며 소수민족에 대한 탄압을 정치적으로 악용하고 있다. 티베트도 문화혁명을 거치면서 사회주의 건설 지상주의 아래 종교탄압을 많이 받았다. 중국은 수 많은 소수민족이 있다. 그들은 같은 중국아래 다른 중국이다. 아니 중국이 아니고 싶어한다. 중국인작가로 티베트의 한마을에서 낯설고도 특별한 1년을 취재를 기록으로 남긴 이 책은 티베트에 대한 우리의 편견을 확인하게 해 준다.


어느 한 시대에, 한 지역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은 그렇게 특별할 것도 없다. 그리고 그 평범한 삶, 그네들의 삶을 미개와 야만으로 평가할 수 없다. 자신의 가치관의 특별한 잣대가 드리워지기 전까지는. 하지만 자신의 가치관과 특별한 잣대가 제국과 자본주의, 정치이념의 특별한 통치이념에 길들여진 체제내의 순응자를 만드는 방편의 하나라는 것을 깨닫는 다면 그 조차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티베트는 지극히 평범할지 몰라도 순박함과 고귀함을 지켜가려는 노력이 공존한다. 현대 과학과 의학으로 할 수 없는 것들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객관은 어쩌면 한편에서 본 편견일지 모른 다는 사실을 확인해주는 따뜻한 시선이 돋보이는 뭉클한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