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불평등 기원론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27
장 자크 루소 지음, 주경복 옮김 / 책세상 / 200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자본주의의 정점에서 사회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으로 나뉜다. 그리고 그 분할을 만드는 오래된 -하지만 인류사에서 볼 때 아주 짤은 순간이다- 메커니즘은 ‘소유’다. 우리는 비교와 경쟁이 일상적으로 이뤄지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그 비교와 경쟁이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하는가는 성찰적 질문들이 나온다. 하지만 그런 성찰적 질문들을 대하는 우리의 삶은 대응은 무기력하다. 적극적 행동이나, 개혁적 실천으로 나오기까지 우리는 우리의 삶에 너무나 묶여 있기 때문이다. 18세기 후반을 살았던 루소는 당시 종교의 신비주의에 대항하여 계몽주의가 유행하던 시대에 계몽주의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피력한다. 노예가 없는 평등이라는 개념은 당시 혁명적인 견해였다. 볼테르는 그의 저서 [인간불평등 기원론]에서 자연적 불평등이 제도적 불평등에 의해 한층 심화되었다고 역설했다. 평등에 대한 급진적 이론일 뿐이라고 치부해버릴 수도 있지만 지난 인류의 역사에서 공고해보이던 제국의 멸망은 이러한 사회적 불평등이 멸망의 단초를 제공했으며, 그 극점에서 낡은 시대가 역사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우리사회도 역시 불평등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루소는 제도와 문명에 대한 혐오를 드러내었다. 그리고 원시사회에서의 행복한 인류의 생활을 찬양했다. 그리고 이성에 의한 진보, 문명의 발달이 인간의 행복을 가져오는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제기했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이성에 의한 합리적 해결책을 찾을 수가 있다고 확신한다. 그것은 제도의 개선이며,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위한 정치’가 시작될 때 가능하다. 우리가 위임한 권력이 정의롭지 않을 때,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지 않다면 우리든 새로운 제도와 새로운 사회를 위한 대안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하지 않을까?

성찰의 교본은 역시 고전이다. 읽기에 편한 쑥쑥 잘 넘어가는 책은 먹기에는 좋지만 역시 꼭꼭 씹어 진정한 맛을 느끼기는 힘들다. 해제를 살피고, 각 주를 살피면서 읽는 맛이 난다.

“인간은 때때로 살아있는 상태에 놓여있기 위해 죽음으로 내달리며, 불멸을 찾아 생을 포기하기도 한다”
“ 개인의 가치는 존재에서 소유로 바뀌게 된다”
“편리함을 누려도 행복하지 않은 반면에 그것을 잃으면 몹시 불행해졌다”

그의 주목받는 또 다른 저서로는 [학예론]과 [에밀][사회계약론]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