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공화국, 누가 우리 아이의 재능을 죽이는가
안드레아스 잘허 지음, 송경은 옮김 / 서돌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는 과거의 박물관이 아니라 미래의 실험실이어야 한다”

최근 일제고사 성적 조작서건이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일제고사를 부활씨켜 경쟁을 통한 효율을 꾀하려 했던 현 교육당국은 성적을 평가하는 정교한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하며 일제고사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비판에 대응했다. 반면 일제고사는 학교별, 개인별 줄세우기 경쟁을 심화시키는 좋지 않은 평가시스템이라 주장한다. 그리고 제2의, 제 3의 수많은 성적조작이 생길것이며 사교육비가 엄청나게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의 저자는 현재의 학교시스템과 교육제도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피력하였다 여러방면에서 다양한 재능을 발견하고 키우지 못하는 학교와 학교시스템을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개인의 능력을 키우기 위한 기본적인 교육에 대한 준비도 포함된다고 하였다

저자의 비판과 대안을 요약해보면...

첫째 현재의 학교교육은 개인의 다양한 능력을 발견하고 키우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

두 번째 현재의 교육행정과 교사에 대한 사회적인식은 교사로 최고의 능력을 지닌 인재를 뽑지 않는다. 다음세대를 위한 교육과 교사는 당연히 최고의 인재가 되어야 하는데도 말이다. 심지어 교사의 자질이 의심되는 상상수의 사람들이 교육개혁을 방해한다

셋째 학교는 가르치는 교사를 중심으로 행정이 짜여져 있어야 함에도 현재의 학교는 행정을 위한 위계질서와 효율적인 업무위주의 관료주의의 폐해에 예외가 아니다

넷째 부모의 역할에 대한 문제가 있다. 아이가 초등학교 들어가는 순간부터 부모은 아이의 교육에대한 거의 전부를 학교에 위임한다. 하지만 학교는 아이들의 교육을 학교에서만 할 수 없다고 변명하길 마다하지 않는다. 아이들의 재능과 관심사를 가장 잘 파악하고 발견하여 제대로 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 가정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또한 부모의 역할에 포함된다.




우리의 아이가 더 뛰어난 아이가 되기를 모든 부모들을 바란다. 하지만 학교에서 성적이 우수하고, 알아주는 대학에 들어가는 것이 여기에 포함된다. 하지만 모든 아이들은 저마다의 재능과 천재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다중지능이론은 눈여겨볼만한다. 학교에서의 평가에서 고득점을 올리는 것이 아이가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아이의 흥미와 재능을 발견하고 그 재능을 최대한 발휘할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영재론(?)에서 볼 때 나는 일제고사를 반대한다. 일률적인 성적지상주의를 위해서 아이들과 부모들은 엄청난 시간과 돈을 쏟아 부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재능을 발견하는 학교, 그 학교를 지원하는 교육시스템, 그 교육시스템을 운용하고 가르칠 교사들을 최고의 인재로 뽑고, 더하여 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책임의식이 더해져야 한다. 한사람이 만명의 사람을 먹여살린다는 모 기업의 천재/인재론에 동의하지 않지만 제대로 교육받은 한사람, 한사람이더 건강하고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데 기초가 되리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