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걸작인간
샤를로테 케르너 지음, 조경수 옮김 / 브리즈(토네이도)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걸작인간
사고로 뇌사상태가 되어버린 청년,요제프와 머리를 제외하고 사지를 비롯하여 멀쩡한 육신이 없는 화가 게로. 요제프 어머니의 완전한 몸뚱아리 이식을 원한다는 조건아래 프로메테우스재단의 협조아래 의사 레나는 수술을 결정하고 실행한다. 실험은 성공적이었으며, 언론에서는 프로메테우스 의료재단의 의학적 성취를 극찬하며, 신인간의 탄생에 대해서 고무적인 기사를 연일 내보내고 있는 가운데 신인간 게로-요제프는 심한 정체성에 시달린다. 자신의 뇌의 지시대로 손이 그림을 그리지 않는 것이며, 아내와의 결합또한 요제프의 몸이 격렬하게 거부한다. 요제프의 여자친구 리타는 신인간을 찾아가, 요제프의 몸뚱아리와 결합하여 임신을 하게 된다. 하지만 신인간은 건장한 10대청년의 몸과 천재성이 보이는 화가 게로의 결합으로만이 아니라 새로운 사고능력을 가진 그야말로 신인간<?>의 모습을 보이며, 자신의 창조주, 레나를 애타게 찾게되고, 신인가는 레나와 새로운 인생을 꾸려나가게 된다.
빙의를 다운 영화 ‘비밀’ vs 뇌를 바꾸는 모험 ‘더 게임’에서 보지 못했던 것을 보다
과연 우리몸은 뇌가 명령하는 대로 뇌가 반응하는대로만 움직이게 될까? 그리고 영혼을 담는 그릇또한 뇌인가? 지금까지의 빙의를 소재로 한 영화와 작년에 개봉하여 호평을 받았던 한국영화 더게임에서는 “그렇다”라는 대답을 내놓는다. 하지만 [걸작인간]은 뇌중심주의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SF소설에서 과학적이론과 가능성을 논하기에는 뭐하지만 난 우리의 사고방식과 경험에 따르는 인식론에 따르면 여전히 우리가 반응하는 육체, 몸뚱아리에는 몸을 지탱하고, 움직이는 기능적문제에 더 많은 집착을 보인다. 과연 그럴까? 뇌과학이라는 이름으로 사고와 몸의 지배에 관해서는 점점 더 많은 해명을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소설의 말미에 나는 그럼 몸뚱아리가 뇌에 미치는 어떤 ‘심적영향’은 없을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이전에 나온 영화는 뇌와 영혼이 바뀌어도 대상의 수는 변함없고, 바뀐인간의 행동양식만 서로 대조되는 모습만 보였다. [걸작인간]은 새로운 인간 즉 머리와 몸뚱아리가 새로운 영혼을 가진 인간을 만들어내는 상상력을 보여준다.
FACE OFF- 얼굴을 바꿔도 여전히 바뀌지 않는 몸뚱아리와 행동양식이 있음에도
우리의 인식은 여전히 시각과 그 시각에 의존하는 뇌에 머물러 있다.
우리의 사고능력은 그러한 한계를 벗어나야 진실의 조각들을 꿰 맞출 수 있다. 소설적 상상력을 넘어 나의 몸이 반응하는 것, 그리고 그 반응에 의해 뇌가 바뀌고, 마음과 영혼이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는 설정이 매우 흥미로운 역작으로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