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원하게 나를 죽여라 - 이덕일의 시대에 도전한 사람들
이덕일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이 사람들의 의중대로 실천이 되었다면 우리나라는 고려, 조선을 통틀어 아주 훌륭한 강국이 되었을 것이다. 자신을 버리고 대의(백성의 삶)를 고민하고 실천에 옮긴 사람들의 재조명이 이뤄진 훌륭한 책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그리고 시대를 운영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고민하여 읽어야 한다. 특히 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모든 권력의 바탕은 민심이며, 민심을 배반하고, 자신의 안위와 살길만을 고민하는 위정자는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더 비참한 끝을 보게 된다
나에게 가장 인상적인 사람 김육
공납은 특산물로 세금을 내는 제도이다 , 이 공납제도가 백성들에게는 이중,삼중의 과세를 부담하게 하는 관리들의 수탈제도로 변해버려 이러한 백성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김육은 대동법을 강력하게 제안하고 시범실시를 거쳐 결국 제안한 이래 100년만에 백성들을 위한 정책을 관철시켰다. 그리고 그 제안을 관철하기 위해 국가의 지존과 거래하는 당당함까지 보였다. 위대한 정치가, 학자는 무릇 이렇게 백성들의 어려움을 자신의 안위를 고려치 않고 해결하는 사람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정치인들이 가장 배워야하는 부분이다. 조선의 위정자들이 당파싸움을 하면서 백성에게 이롭더라도 자신의 당파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경우 목숨을 걸고 반대하는 것은 코미디가 아닌가
여기서 나는 송시열을 다시 보았다
우리가 역사책에서 배우는 송시열은 효종때 북벌을 단행하자고 주장한 관료라고 알고 있으나 정작 윤휴라는 학자였고, 그 윤휴를 자신의 당파가 아닌 사람이라고 탄압하는 일을 했으며, 대동법실시사 100년이라는 긴시간동안 시행되지 못한 원인중의 하나도 송시열을 중심으로한 당파의 억지때문이었다. 이렇게 역사는 백성과 민초, 약자의 편에서 보면 우리가 배워왔던 승자의 역사를 제대로 해석해서 다시 볼 수 있다. 윤휴와 김육을 보면서 송시열을 다시 평가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시원하게 나를 죽여라
내가 제안하는 백성들을 위한 정책을 실행하지 못한다면 시원하게 나를 죽여라. 위대한 사람은 자신을 버리고 대의를 위해 목숨을 건다, 제목만큼이나 시원한 역사속 인물 거장들의 당대의 최대의 제안
현재, 현실정치를 구현하는 사람이 갖춰야 할 덕목을 제시하는 정치 필독서가 될수 도 있겠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