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내가 결혼했다. 이게 모두다. 나는 그녀의 친구가 아니다. 친정식구도 아니다. 전 남편도 아니다. 그녀의 엄연한 현재 남편이다. 정말 견딜 수 없는 것은 그녀 역시 그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내 인생은 엉망이 되었다.
![](http://cfs8.blog.daum.net/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MDJHYzJAZnM4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C5qcGcudGh1bWI=&filename=0.jpg)
제 2회 세계문학상 당선작인 박현욱의 ‘아내가 결혼했다’는 강윤후 시집을 찾아 헤매다가 들어간 동네의 작은 서점에서 역시나 허탕을 치고 그냥 나오기가 머쓱해 눈에 띄는 대로 집어 나온 책이다.-나중에 알았지만 이 소설은 어느 서점에서나 제일 좋은 장소, 제일 눈에 띄는 곳에 떡 하니자리하고 있었다.물론 베스트셀러란 타이틀로.-
<아내가 결혼했다>는‘ 보편적 윤리관을 뛰어넘는 주제가 월드컵 결승전을 관전하듯 경쾌하게 전개된다,’는 김원일의 심사평처럼 아주 재미있는 소설이었다. 킥킥킥..읽는 내내 입술을 삐집고 참기 힘든 웃음이 새어나왔던.
하지만 이 작품은 재미에만 그치지 않고 사랑이나 결혼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진지하게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것도 지금까지 생각해왔던 것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소설의 줄거리는 어찌 보면 아주 단순하다. 한 여자가 있고 한 남자가 있고 둘은 연애를 하고 결혼을 했고 어느 날 아내가 또 다른 남자와 결혼을 했다.
남편도 사랑하고 그 남자도 사랑한다, 사랑하는 남편과는 이혼은 하기 싫고 사랑하는 또 다른 남자를 정부로 만들기가 싫었기 때문이다.
진짜다. 이것이 진짜 내용이다.
아내가 결혼했다, 라는 파격적인 제목을 보고 책장을 펼치면서도 실제로 아내가 다른 남자랑 결혼한 이야기겠어, 하고 의심들을 하시겠지만-나로서도 얼핏 축구이야기가 있어서 아내가 축구와 결혼했다,라고 표현 할 만큼 축구를 무지 좋아하는 여성에 대한 이야기인가 하는 생각을 잠시 했었다. 하지만 때로는 제목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믿어주는 미덕이(?) 필요하다.
소설 속에서 (물론) 축구를 엄청나게 좋아하는 여주인공 인아는 축구를 만만치 않게 좋아하는 남편 덕훈과 이혼하지 않고 또 다른 남자 재경과 결혼을 한다. 그것도 아주 당당하게.
이 소설은 우선 재미있게 읽혀지는데 그 읽혀지는 이유는 일단 ‘일처다부제’라는 발상이 발칙했고 그리고 축구이야기를 접목시키며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세련된 텍스트에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야기의 소재가 일반적이지 않듯 읽고 난 후에 일반 적 이지 않은 것들, 또는 다분히 일반 적인 것 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그 것도 읽을 때 킥킥거리던 웃음이 조금 미안해질 만큼 약간은 무거운 마음으로.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박현욱이 왜 이렇게 골머리 싸매가며 자기 지식만으론 턱도 없이 모자란 일부다처제나 축구에 대한 참고문헌을 수 도 없이 들척이면서 이 글을 썼을까, 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뭐 1억이란 상금이 욕심이 났고 그걸 얻기 위해서 다른 작가들과는 뭔가 다른 특이한 걸 써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으로 써내려갔든 안 그랬든.
아무튼 1억의 상금만큼은 아니지만 꽤 괜찮은 작품이었는데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박현욱이 서두에서도 밝혔지만)그가 정말 ‘행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구나,하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일부다처제라는 발상은 그가 이 소설을 쓰기위한 소재에 불과하고 책 내용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축구이야기는 독자들을 즐겁게 하고 이야기를 매끄럽게 이끌어준 일종의 윤활유역을 충분히 잘 해냈을 뿐이다,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부다처제’라는 발칙한 발상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논쟁의 핵심을 한곳에 치중한다.
어찌보면 대한민국의 평범한 남.자.이자 더욱 지극히 평범한 남.편.인 덕훈이 아내의 결혼을 인정하기까지의 갈등과 그 갈등이 주었던 고통을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헤쳐 나올 수 있었던 건 단 하나 아내‘인아’에 대한 사랑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스스로가 행복해지기 위한 노력이었다. 또한 얼마나 치열한 노력이었던가!
그가 결코 일처다부제에 대해 인정하고 따른 것은 아니었다. 여주인공 인아가 모권사회 의 부활을 꿈꾸는 대단한 페미니스트가 아니었듯이.
하지만 이런 내 생각과는 다르게 상 받은 작품 뒷장을 어김없이 차지하는 심사평을 읽으면서 조금 놀라기도 했다.
참 나. 이 사람 도대체 소설을 제대로 읽은거야, 하는 의심이 가는 심사평도 더러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그동안 존경해마지않던 박범신 아저씨의 심사평은 고개 갸우뚱 세 번-슬픈 신문명의 풍경 속으로 어쩌구, 현대인의 쓸쓸한 에스컬레이터 저쩌구는 는 정말 깬다.
게다가 김미현의 심사평은 완전 레드카드감이다-이 소설을 두고 이런‘판타지’가 필요 할 만큼 일부일처제나 절대적 사랑의 시효가 만료되어가고 있는 현실을 상기시키기에 슬프다니.
덧붙여 일부다처제든 일처다부제든 이런 보편적이지 않은 관습과 제도에 대한 내 견해를 잠깐 이야기 하자면 나는 그런 제도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된다거나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라는 식으로는 말하고 싶진 않다.
다만 일반적인 것에 익숙해있는 우리로선 파격적인 것을 이해한다거나 받아들이는 것이 약간은 혼란스러울 뿐이다. (약간은? 아니,많이!)
인류가 생성되고 시대가 변하면서 관습과 제도는 수없이 바뀌어왔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어차피 절대적인 것 은 없다.
아직도 지구상엔 폴리안드리로 살아가는 민족이 있고 이슬람이 있고 몰몬교가 있다.
하지만 그들이 이슈가 되는 것은 어찌 보면 보편적이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보편적이라는 것은 결국 인간이 살아오면서 수많은 경험을 통해 가장 이상적이고 가장 합리적인 것을 찾아내어 그것을 행하는 것 일 것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그렇다.
제아무리 삼국시대가 모계사회였던 흔적이 남아있던 어쩌든,
신라에선 혼전섹스가 흔했고 유부남,유부녀들이 프리섹스를 했건 어쨌건.
고려시대엔 쌍화점에서 남녀가 만나 원나잇스탠드를 했건 안했건.
서라벌땅의 선덕여왕이 남편을 셋을 거느렸건 어쨌건.
어쨌건..저쨌건 ...등등등등..
지금은 500년 밖에 안 된 조선의 관습과 제도가 현시대의 거의 모든 관습과 제도를 대변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나는 이 평범한 사실에 대해 아주 단순하게 생각을 해보았다. 결국 인간이 만드는 제도와 관습 이란 건 선험적 경험을 통해 스스로가 감당해 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이상적 인 것을 찾아내어 그것을 보편화 시킨 것이지 않을까.
다시 말해서 좋은 게 좋은 것이다.
되도록 이면 덜 상처 받을 수 있는 관계. 상처를 받더라도 보호 받을 수 있는 제도가 필요했고 그 제도 안에서 안주하는 것이 생각보다 편리했기에 그것이 보편화되는데 일반적이지 않은 사고로 테클을 걸 필요가 없지 않았을까,하는.
사랑과 결혼은 다르다.
오. 어떻게 사랑과 결혼이 다를 수가 있나요,라고 반문한다면 딱히 할 말은 없다. 뭐 그냥 결혼해봐,라고 무책임한 말을 할 수밖에.(정말 결혼해보시오.)
물론 사랑하기 때문에 결혼을 하겠지만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혼이란 제도에 안주할 때 스스로가 의식하지 않은 그 무언가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그것은 사람들이 결혼을 함으로서 얼만큼 행복해질 수 있을까보다는 얼만큼 안정될수 있을까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말이기도 하다. 또는 결혼을 함으로서 정신적인 안정이든 물질적인 안정이든 안정이 되어야만 비로소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일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소설 속 주인공 덕훈은 오로지 ‘사랑’에 대해서만 생각했다.
그는 사랑하는 여자와 함께 살아야만 행복해지는 남자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그에게는 진실이었다. 비록 일처다부제의 결혼형태로 함께 하지만 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아내 인아에 대한 사랑이었을 뿐이다.
마지막 글이 제법 감동적이다.
‘바티스투타는 이렇게 말했다. 모든 것이 무너져도 우리에겐 항상 축구가 있다.’-그는 결국,
모든 것이 무너져도 나에겐 사랑이 있다.라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축구공의 진실.
축구공 안에 담겨 있는 위대함이란 행복과 관련된 어떤 것이다.
축구공이란 행복과 가까운데 있는 무엇이다.
축구공이란 바로 행복이다 .
자본가들이 선수들을 축구 노동자로 만들어 축구라는 상품을 화려하게 포장해서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더라도,
정치가들이 축구열기를 이용해서 표를 훔쳐가고 권력을 장악하더라도
축구공속에 깃든 행복만은 그들이 독점할 수도,팔아먹을 수도,훔쳐갈수도 없다.
또 하나의 진실.
어떤 사람이건 사랑을 하게 마련이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살고싶어한다.
어린아이도,
어른도.
결혼을 한 사람도,
하지 않은 사람도.
노동자도,자본가도. 좌파도,우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