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이라는 한 개인에게 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빚이 있습니다. 저도 그런 사람 중 하나입니다. 전법무부장관으로 그가 바랐던 사회의 구상을 이 책에서 살짝 엿볼 수 있습니다. 법은 강자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것이 아닌 약자의 고난을 덜어주기 위한 것이라는 그의 고민에 동감합니다. 그러면서도 입법을 하는 국회가 과연 그의 이상을 따라주었을까라는 의문은 여전합니다.제가 주목한 부분은 예링에 대한 부분이었습니다. <<권리를 위한 투쟁>>의 첫 부분은 이렇게 시작합니다.˝법의 목적은 평화이며, 평화를 얻는 수단은 투쟁이다. 법이 부당하게 침해되고 있는 한—그리고 세상이 존속하는 한 이러한 현상은 계속된다—법은 이러한 투쟁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법의 생명은 투쟁이다. 즉 민족과 국가권력, 계층과 개인의 투쟁이다.˝즉 기존의 법을 개정하거나 새로운 법을 만들 때에는 그 법의 이익을 받는 집단과 피해를 받는 집단의 투쟁이 필연적이라는 것입니다.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남는 부분은 이 구절입니다.“이 세상의 모든 권리는 투쟁에 의해 쟁취되며, 중요한 모든 법규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법규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맞서 투쟁함으로써 쟁취된 것이다. (…) 권리는 단순한 사상이 아니라 살아 있는 힘이다. (…) 법규나 제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행위는 이 같은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선전포고를 하는 것과 같으며, 수많은 촉수로 단단히 들러붙은 해파리를 제거하는 일과 같다.˝‘수많은 촉수로 단단히 들러붙은 해파리를 제거하는 일‘은 지난하고 고통스러우며 포기하고 싶지만 결고 포기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합니다.많은 사람에게 이로운 법을 제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 같지만 실제로는 이익집단간의 첨예한 대립으로 더 큰 목소리를 내거나 (우리 나라에서는 불법이지만) 더 많은 로비를 하는 쪽을 위한 법이 만들어지기 쉽습니다.법무부장관으로서 조국 한 사람이 그 해파리의 촉수를 모두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결국 좀더 상식적이고 많은 사람에게 이익이 되는 법이 제정되고 시행되기 위해서는 입법을 하는 국회의원에게 좀더 많은 압력이 필요하다고 여겨집니다. 혹은 선거제도의 개편(완전비례대표제)를 목표로 해야할 수도 있겠지요.선거 제도에 대한 법고전이 부록으로라도 수록되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우르수스가 그렇게 말하는 동안, 호모가 난로 가까이로 미끄러지듯 다가왔다. 잠든 아기의 손 하나가 난로와 고리짝 사이로 늘어져 있었다.늑대는 아기의 손을 핥았다.굉장히 부드럽게 핥았기 때문에, 어린것은 잠에서 깨어나지 않았다.우르수스가 호모를 돌아보며 말했다."그래, 호모. 나는 아버지, 너는 삼촌이 된다." 그러고는 혼잣말을 계속하면서, 불을 돋우는 일을 이어 갔다."입양은 결정됐어. 게다가 호모도 원한다고." 그가 다시 몸을 일으켰다."나는 과연 누가 이 죽음에 책임이 있는지 알고 싶어. 인간들일까? 혹은.." 그의 눈이 천장 너머의 허공으로 향했다. 그의 입이 우물거렸다."당신입니까?
페인은 말합니다.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때 우리는 헌법과 국가를 자랑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 세상 어느 나라보다도 우리의 빈민은 행복하고, 그들에게 무지와 불행이 없으며, 감옥에는 죄수가 없고, 거리에는 거지가 없으며, 노인들에게는 부족한 것이 없고, 세금이 과중하지 않으며, 우리는 세계의 행복과 친구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세계가 우리의 친구라고 말할 수 있을 때 그렇다.
소설에는 세상 모든 게 다 있다. 버려지고 소외된 자들의 이야기, 인간과 인간 사이에 오고가는 감동과 따뜻한 마음, 그것들을 보여주는 아름다운 문장들. 도대체 이런 소설을 읽지 않고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고 또 버텨낸단 말인가. 소설이야말로 우리가 끝까지 쥐고 있어야 할 거룩한 예술이다. - P22
좋아하는 작가의 책을 선물한다는 것은 나의 내밀한 마음을 조금이나마 드러낸다는 뜻인 것 같다. - P26
관념이 아닌 실재하는 세계에서 밝음과 어두움이 완벽하게 나뉘는 것은 불가능하듯이 인간 관계도 마찬가지다. 그 중에 가장 난해한 것이 남녀의 관계가 아닌가 싶다. 지금은 조금 덜하긴 하지만 그래도 아직 가부장적, 남성적인 문화가 주류인 사회에서 남성은 여성에 비해 타인의 감정에 덜 예민하거나 혹은 무관심하거나 심한 경우 자신의 감정을 강요하기까지 한다. 그러한 사회일수록 밝음과 어두움의 중간 단계인 성희롱의 회색 지대는 더 넓고 기울기도 가팔라질 수 밖에 없다.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무관심하여, 혹은 재미로 그 회색 지대에 발을 들이면 남성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미끄러져 어두움(범죄)으로 빠질 수 있기에 가장 현명한 방법은 회색 지대를 알아보고 조심하는 것이고, 혹여 발을 들였다면 상대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그 지대를 벗어나야 한다.종종 남성들의 불평을 듣는다. 그럴 의도가 아니었다, 몰랐다 등등. 같은 예로 그럴 의도가 아니었거나 부주의하여 차량 사고로 인명 피해가 난다면 그런 변명이 통할까 싶다. 여성들이 느끼는 성희롱에 대한 감정은 차량 사고와 같아서 단기간 혹은 장기간의 정신적 피해, 경력의 피해, 심할 경우 일생동안의 트라우마이다. 누구나 사고를 피하기 위해 안전운전을 하듯이, 남녀간의 안전한 의사소통을 위해 두세번 읽어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