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 하루키의 위스키 성지여행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이윤정 옮김, 무라카미 요오코 사진 / 문학사상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만약 우리의 언어(言語)가 위스키라고 한다면, 이처럼 고생할 일은 없었을 것이다. 나는 잠자코 술잔을 내밀고 당신은 그걸 받아서 조용히 목 안으로 흘려 넣기만 하면 된다. 너무도 심플하고, 너무도 친밀하고, 너무도 정확하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우리의 언어는 그저 언어일 뿐이고, 우리는 언어 이상도 언어 이하도 아닌 세상에 살고 있다. (p.26)


하루키는 순전히 본 고장에서의 위스키를 즐기기 위해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를 찾는다. 스코틀랜드의 몰트 위스키를 맛보면서 그는 이 여행을 행복해한다. 워낙에 일본 보다 해외에서 보내는 기간이 더 긴 하루키지만, 그는 그가 하는 모든 여행에 목적을 갖는다. 우동만 줄기차게 먹어대기도 하고 동물만 보고 돌아다니기도 하는것처럼. 그리고 위스키를 먹기 위해 여유롭고 한가로운 이곳, 스코틀랜드를 찾는다. 사진만 보아도 이곳이 얼마나 여유로운지를 한 번에 알 수있다. 이런곳에서 위스키가 만들어지고 있다니.

'소위 말하는 스카치 위스키는 발아한 보리로만 만들어지는 '싱글 몰트'와 그 밖의 다른 곡물을 증류한 '그레인'을 블렌딩해서 만들어진다. 아일레이에서 생산하는 것은 대부분 싱글 몰트이다. (p.42)

사진은 '보모어 증류소의 이탄을 태우는 불길' 이다. 스카치 위스키라는 것이 아, 스코틀랜드에서 나와서 스카치 위스키구나, 하는 생각이 이 책을 읽으면서 불쑥 튼다. 그래서 스카치 위스키라고 하는구나. 마찬가지로 아일랜드에서 만들어지는 게 아이리쉬!! 그런건가, 그런거였나! 그가 찾아간 곳은 스코틀랜드의 아일레이.

싱글 몰트도 각자 저마다의 개성이 있다고 하는데, 위스케에서는 '해초향'이 난다고 한다. 이런 한가로운 바닷가 풍경을 보노라니, 이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위스키에 해초향이 나지 않을리가 없다. 해초향이 난다고 해도 전혀 이상할 게 없지 않은가. 다른 모든 주류들이 그렇듯 위스키도, 하루키의 말대로, 본고장에서 가장 궁극의 맛을 자랑할 수 있는 것 같다. 그곳의 날씨와 풍경, 이 모든것들이 위스키의 맛을 최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그 위스키를 그대로 품 안에 가지고 와 거기가 아닌 전혀 다른 곳에서 뚜껑을 따고 향을 음미한다면, 그곳에서 맡을 수 있는 고유의 향이 나지 않을 것 같다. 그것이 자연스런 이치.

사진은 '보모어 증류소의 '플로어 몰팅'의 명인들.

보통 6월에서 9월까지는 강물의 온도가 올라가 위스키를 만들기에 적당하지 않기 때문에, 이 때의 위스키를 만드는 이 지역의 일꾼들은 할 일이 없어진다. 그들은 그 동안에 집의 페인트칠을 한다는 데, 그래서 이곳의 벽은 언제나 말끔하게 칠이 되어 있다고 한다. 다같이 일하고 다같이 한가로울 수 있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마음을 훈훈하게 한다.

사진은 보모어 증류소의 플로어 몰팅 과정.

이 증류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대두분 아일레이에서 태어나 아일레이에서 자란 사람들. 그들은 술통을 두드려 그 소리로 술이 익은 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고 한다. 위스키를 만드는 데 온 심혈을 기울이는 사람들, 그리고 그런 자신을 당당하고 자랑스레 여기는 사람들. 그들이 만드는 위스키는 당연히 맛이 좋겠지. 나야 위스키의 맛을 잘 알지 못하지만, 위스키 고유의 향을 맡고 또 마셔보면서 음미하고 싶어졌다. 이 술은, 결코 허투루 만들어진 술이 아니라는 굳은 생각.


"이렇다 저렇다 말하기 전에 먼저 마셔보라구. 우리들이 하려는 일이 무언지 위스키를 마셔 보면 알 수 있으니까." (p.82)

자부심이 묻어난다. 위스키를 마셔보면 그들이 하고자 했던 게 무엇인지 알 수 있다니.

"모두들 아일레이 위스키의 특별한 맛에 관해 이런저런 자잘한 분석을 하지. 보리의 품질이 어떻다느니, 이탄의 냄새가 어떻다드니 하고. 분명 이 섬에서는 질 좋은 보리가 나지. 물맛도 훌륭해. 이탄도 풍부하고 향이 좋아. 그건 틀림없는 사실이야.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아일레이 위스키의 맛을 설명할 수 없어. 그 매력은 해명할 수가 없는 거지. 가장 중요한 것은 말이지, 무라카미씨, 가장 나중에 오는 건 사람이야. 여기 살고 있는 우리가 바로 아일레이 위스키의 맛을 만드는 거야. 섬사람들의 퍼스낼리티와 생활양식이 이 맛을 만들어 내는 거지. 그게 가장 중요해." (p.87-90)


이 지역의 모든 특성들이 좋은 위스키를 만들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이 위스키를 만드는 사람들.

이제 그는 아일랜드로 넘어왔다. 이곳 역시 조용하고 한적하기는 마찬가지. 그는 '수줍고도 온화한 분위기' 라고 표현했는데, 양과 소도, 레스토랑도, 길의 고양이도 그 표현 그대로를 닮아 있다.

하루키는 오후 네 시쯤 숙소에 짐을 풀고 펍을 찾아가 맥주를 마신다고 했다. 이 사진도 역시 펍 에서 찍은 것. 사람들이 저녁 식사를 하기 전 들러서 간단히 술을 마시는 곳. 한가로운 곳에서 여유롭게 사람들에게 원하는 술을 제공한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펍을 찾는 사람들중 어떤 이들은 그 펍의 단골이다. 주머니에서 동전 몇 개를 꺼내 올려두고 별다른 말을 하지 않아도, 바텐더는 그 동전들을 쓸어 담고 손님들이 원하는 위스키를 정확히 따라주기도 한다.

혼자서 펍을 찾고 레스토랑을 찾는 것, 그곳에서 조용히 책을 읽으며 맥주나 와인을 한 잔 하는 것은 내 로망이기도 한데, 아직까지 실천해 본 적은 없다. 그러나 나를 아는 이가 하나도 없는 곳으로 간다면, 어쩐지 용기를 내어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루키처럼 레스토랑에 가서 저녁을 먹기 전 펍에 들려도 좋을 것이고, 잠이 안 오는 밤에 읽고 싶은 책을 한 권 들고 나가 펍에 들러도 좋을 것이다. 간단히 샌드위치를 부탁해도 되겠지. 꼭 책을 읽지 않아도 좋다. 혼자서 술을 마시는 시간은 무척 행복하지 않을까. 스코틀랜드에서의 사진들 중에서는 유독 이 펍에서의 바텐더와 손님들 사진이 마음에 든다. 술을 즐길 줄 아는 사람들이 나는 좋다.

이 책의 가장 큰 수확은 뭐니뭐니해도 하루키의 젊은 날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게 아닐까. 이 사진을 보고 너무나 젊어서 놀랐다. 대체 이 책은 언제적의 책인 걸까. 내 책장에 꽂힌 시간도 오래되었지만, 그보다 훨씬 오래 쓰여진 책이겠지. 초판 1쇄는 2001년 5월인데, 그보다 더 오래 된 책이겠지.



얼마전에 켄 로치 감독의 영화 [앤젤스 셰어]를 보다가 싱글 몰트도 저마다의 향이 있고 그것을 감별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걸 알게 됐는데, 이 책을 보니 그 영화가 떠오른다.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사람들은 저마다 마셔보면 이 술이 어떤 술인지를 맞힐 수 있다고 했는데, 나도 이 곳에 가서 싱글 몰트의 맛을 알고 돌아오고 싶다. 굳이 알지 않아도 술을 즐기는 데 불편함은 없지만, 향을 알고 또 맛을 알고 음미할 수 있다면, 즐기는 게 더 큰 행복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하루키는 이 책으로 술을 잘 즐기지 않는 사람들도 위스키를 마셔보고 싶어했으면 좋겠다고 했는데, 술을 잘 즐기지 않는 사람이 이 책을 보고 어떤 생각을 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나로서는 퍽 즐거운 독서였다. 술을 즐기기 때문일까. 푹 빠져서 책장을 넘겼다. 언젠가 한 번쯤은 이 조용한 곳에 가서 소며 양이며 그리고 바다를 넋놓고 바라보다가 한적한 펍으로 들어가 싱글 몰트를 주문하는 거다. 다시 이곳으로 돌아오기 전에, 펍에 있는 많은 종류의 위스키를 종류별로 다 마셔보고 싶다. 돌아올 때의 나는 술을 즐길 준비가 철저하게 되어있겠지. 생각만 해도 취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우의 전화박스
도다 가즈요 지음, 다카스 가즈미 그림, 이선아 옮김 / 크레용하우스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산 속에 엄마 여우와 아기 여우가 살았다. 아빠 여우는 없었지만, 엄마 여우는 매일매일 아기 여우가 커가는 걸 보면서 행복함을 느꼈다. 아기는 엄마 앞에서 재롱을 떨기도 했고 엄마를 끌어 안기도 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아기여우가 시름시름 앓기 시작했다. 금세 나을거라고 생각했고 그러길 바랐지만, 아기여우는 점점 더 힘을 잃다가 결국 차갑게 식어버리고 말았다. 엄마 여우는 그 슬픔을 감당하기가 너무 힘이 들었다.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산기슭의 공중전화 박스에 어린 소년이 찾아온다. 어, 사람이구나. 여우는 소년이 통화하는 걸 우연히 듣게 된다. 소년은 소년의 엄마와 통화하고 있었다. 엄마 여우는 그런 소년을 보며, 아 우리 아기 여우가 살았다면 저 소년 또래였을 텐데, 자꾸 아기 여우 생각이 난다. 저 소년도 지금은 엄마랑 떨어져 있구나, 나도 아기 여우를 보지 못하는데. 엄마 여우는 자꾸 마음이 찡해진다.





아기 여우 생각이 너무 간절한나머지 소년의 뒤에 여우꼬리가 달린것 처럼 보이기도 한다. 아, 저건 우리 아기처럼 꼬리가 난건가?





소년은 엄마와의 통화를 끊으며 내일 또 전화하러 온다고 말했다. 엄마 여우는 공중전화 박스 앞에서 소년을 기다린다. 그래, 정말 소년에게 꼬리가 달려있는지 그것도 확인해보자. 그리고 마침내 소년이 나타났다.





소년은 엄마와 통화를 한다. 그리고 얘기한다.

"엄마, 보고 싶어‥‥‥."(p.31)





소년의 그 말에 엄마 여우는 더 간절히 아기 여우를 떠올린다.





그리고 엄마 여우는 소년의 엄마가 되어, 소년의 말을 들으며 엄마의 말로 대응한다. 소년에게는 차마 들리지 않을 말을. 마치 아기 여우와 통화하는 것처럼, 그렇게...





아, 그런데 이를 어쩐담. 소년이 전화를 하러 올텐데, 오늘은 공중전화 박스에 불이 들어와있지 않다. 가까이 가보니 종이 쪽지가 문에 붙어 있는데 글씨를 읽을 수가 없다.





그 때 지나가던 사람들이 공중전화를 걸러왔다가 전화가 고장이라고 말을 한다. 전화를 쓸 수 없어 곤란하다고.





엄마 여우는 애가 탄다. 어쩌지, 소년이 엄마랑 통화를 하고 싶을텐데. 전화기가 고장인 걸 알면 무척 서운해할 텐데. 그런 소년을 위해 아무것도 해줄 수가 없다니, 엄마 여우는 무척이나 마음이 아프다. 어쩌니, 어쩌니. 그런 간절한 마음이 닿았기 때문일까. 엄마 여우는 공중전하 박스 옆에서 공중전화 박스로 변신한다.





소년이 엄마에게 전화를 걸러 공중전화 박스를 찾았을 때, 그곳엔 공중전화 박스가 두 개 있었다. 소년은 이해한다. 아, 고장났다고 새로운 전화를 가져다 놨구나. 소년은 밝은 빛이 있는 새로운 전화박스로 들어간다.





소년이 엄마와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자 엄마 여우도 행복해진다. 그리고 소년의 온기가 그대로 엄마 여우에게 전해진다.






그러나 엄마 여우는 이제 다시는 소년을 볼 수 없음을 알게된다. 소년의 할아버지가 엄마가 있는 도시로 일하러 가게 되었기 때문이란다. 소년에겐 잘된 일인데, 소년은 이제 행복해질 수 있는데, 소년은 이제 엄마를 매일 볼 수 있는데, 엄마 여우는 서운해진다. 이제 다시는 소년이 엄마와 통화하는 걸 들을 수 없구나.





그렇게 괴로워하고 있는데 고장난 공중전화 박스에 갑자기 깜빡깜빡하더니 불이 들어온다. 여우는 그 박스 안으로 들어가 수화기를 든다. 그리고 아기 여우에게 말한다. 소년이 엄마랑 함께 살 수 있어 다행이라고, 그동안 소년의 통화를 들을 수 있어서 행복하다고, 덕분에 아기 여우 생각을 할 수 있었다고.






이 이야기가 슬퍼서 울고 싶어지다가, 그 울음이 결국은 희망으로 바뀔 수 있는 건, 엄마 여우로 하여금 깜빡이는 빛을 보게 해준 공중전화 박스 때문이다. 늘 묵묵히 그곳에 있던 공중전화 박스는 제 남은 힘을 온통 쏟아 서운해한 엄마 여우 앞에서 고장난 공중전화 박스에 불을 밝혀주었다. 이에 엄마 여우는 아기 여우를 그리워하며 소년의 행복을 빌어줄 수 있었다. 그래, 잘 견뎌내야지, 꿋꿋해질 수 있었다.


살다가 가끔 아니, 아주 자주, 엄마 여우는 아기 여우가 생각나 힘들 것이다. 슬프고 절망하고 삶에 의욕을 잃을 것이다. 가장 사랑하는 존재를 잃었는데 왜 안그렇겠는가.


그렇지만 버틸 수 있을것이다. 공중전화 박스처럼 내내 지켜보며 힘이 되어주고자 하는 존재들이 삶에 등장할 것이다. 그런 사람들의 손을 잡아가며 엄마 여우는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길 기대하지 않는다면 이 책은 한없이 슬프기만 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여름의 끝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13
로이스 로리 지음, 고수미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6월
장바구니담기


하지만 나는 사생활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다. 가끔씩 아무 이유도 없이 눈물을 흘리거나, 아무도 없는 곳에서 혼자 곰곰이 생각하거나, 어떤 단어가 어떻게 들리는지 알고 싶어서 큰 소리로 말해 보거나 하는 것들 말이다.-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ut you don’t wear an engagement ring.” “I don’t have one.” He studied the bangle, turning it slowly around. “What kind of man proposes without a ring?” She explained, then, that there had not been a proposal, that she hardly knew Navin. She was looking away, at a dried-out plant on the terrace, but she felt his eyes on her, intrigued, unafraid. “Then why are you marrying him?” She told him the truth, a truth she had not told anybody. “I thought it might fix things.”  -「GO ASHORE」P. 313




















사랑을 잃고 절망하고 울고 있을 때, 그가 내게로 왔다. 나는 그를 처음봤을 때부터 그를 사랑할 일은 없을거란걸 알았지만, 그러나 그에게 안착하려고 했다. 그래서 그와 결혼까지도 생각했다. 왜 그와 결혼하려고 해? 그와 결혼하면 모든게 다 편해질거라 생각했어, 내 대답은 그랬다.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것이고, 그러나 자리잡힐 거라고 생각했다. 중심을 잡을거라고 생각했다. 중심을 잡아두면 나는 흔들리지 않을거라고 생각했다. 내 모든 일상을 그와 더불어 하려는 생각도 없었고, 앞으로의 시간을 그와 나눌려고 다짐했던것도 아니다. 바깥으로부터 무수히 쏟아질 질문공세로부터 자유롭고 싶었고, 앞으로 얼마나 닥칠지 모를 설레임과 흔들림으로부터도 중심을 잡을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나는 늘 유영하고 있었다. 가만있지 못했다. 안정감을 바닥에 깔고 계속 유영했고 작은 바람에도 몹시 흔들렸다. 나는 단단하지 못했고 단단할 수 없었다. 사랑한다고 입밖에 내어 말해도 사랑하게 되질 않았다. 이 사랑을 받기만 하면 안되는데, 나도 어느정도는 돌려주어야 하는데, 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사랑은, 노력으로 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 관계는 단 한번의 태풍에 휩쓸려 사라지고 말았다. 미안함과 죄책감에 눈물을 흘린것도 잠시, 나는 내가 다시 자유로워졌다는 데 홀가분해졌고, 내가 자유롭다는 걸 어서 빨리 다른 남자에게 알리고 싶어 조바심이 났다. 시간이 흐르자 내가 중심을 잡고자 선택하려던 것이 얼마나 어리석었던건지 깨달았고, 내게 불어닥친 태풍에 감사했다. 사랑은 노력으로 되지 않는다는 걸, 이제는 절실히 알았다. 다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그 때가 아니었다면 받아들이지 않았을 사람이 하필이면 그 때 내게로 와서 가혹한 이별을 맞닥뜨렸다. 그러나 달리 내가 무엇을 해줄수는 없다. 


그녀는 나빈과의 결혼이 모든걸 바로잡아줄거라 생각했고, 나도 그랬다. 그녀는 나빈과 결혼했고 나는 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문을 펼치다가 우연히 나윤선에 대한 기사를 보았어. 당연한듯 나는 당신을 떠올렸지. 무엇보다 당신이 짐을 싸들고 다른 나라로 가기로 결정했을 때, 캐리어를 끌고 공항으로 가고 또 다른 나라의 공항에 내려 캐리어를 끌었을 때, 그 안에 나윤선의 시디가 있을까, 궁금했어. 당신은 무슨 책을 챙겨갔을까, 무슨 시디를 가져갔을까. 잠시 머물다 오기로 한 게 아니라 아주 살러 갈 작정이었으니 짐을 신중하게 챙겨가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그 짐 어느 한 구석에 나윤선의 시디가 있을까. 내가 주었다는 걸 기억하고 챙겨 넣었을까, 아니면 당신은 대부분의 짐들을 버리고 가볍게 가기로 결정하고, 그 버려질 짐 속에 나윤선의 시디를 넣었을까. 내가 그 해, 8월14일에 당신에게 주었던 그 시디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 출근길에 천사를 들으며 좋다고 했던 그 시디는 여전히 당신의 옆에서 당신에게 천사를 들려줄까. 그리고 별이 되다를 가끔 들을까, 당신은.
















문득 내가 다른 먼 곳으로 간다면 어떨까 생각했어. 그럴 경우 내 짐속에 당신이 준 시디가 챙겨질까. 아니, 사실은 난 지금 그 시디가 어디 있는지도 기억 못해. 나는 그 시디를 여전히 간직하고 있을까, 아니면 어딘가로 보내버렸을까. 고백하자면 나는 그 시디를 그 날 이후로 다시 들은 적이 없어. 오늘은 집에 가면 시디장을 열고 뒤져봐야지. 만약 이 시디가 제자리에 그대로 꽂혀있다면 오늘만큼은 한 번 다시 들어봐도 나쁘지 않겠지. 내가 아직 이 시디를 어떻게든 처분하지 않고 가지고 있다면 앞으로도 처분하지 말아야지, 오랜 시간 멀리 가게 될 일이 생긴다면-당신이 사는 나라든 혹은 다른 나라든- 그때 내 짐속에 이 시디를 챙길거야.


























어느 해에는 메신저의 작은 창으로 좋아할거라며 노래를 소개해주었지. 만약 지금도 우리가 여전히 메신저의 창을 통해서든 다른걸 통해서든 서로에게 닿아있는 사람들이라면, 그렇다면, 지금쯤 나는 당신에게 다른 앨범을 한 장 선물했을거야. 아마 나는 당신에게 이 시디를 사달라고 했을지도 모르겠어. 그러나 당신은 여기에 없고, 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이 시디를 받았어. 

















가끔은, 아주 가끔은 당신이 원망스러워. 그보다 더 자주 당신이 그리워.





사랑한다면 사랑할 수밖에

너와 헤어진 다음 날 그를 사랑했어 -김이듬, 『말할 수 없는 애인』 부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