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슈비츠의 자매 - 나치에 맞서 삶을 구한 두 자매의 실화
록산 판이페런 지음, 배경린 옮김 / arte(아르테)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아우슈비츠하면 우리들에게 기억에 남는 인물은 바로 안네가 아닐까 싶다. 물론 다양한 사람들이 많았겠지만

이 자매들 역시 나치가 점령한 네델란드에서 자매들은 사람들을 구하기 시작했다.

누구보다 쉽지 않았지만 그녀들은 자신들의 집에서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사람들을 구했다.

물론 위험하지 않았던것은 아니나 많은 사람들의 도움으로 헤쳐나가고 그리고 하이네스트라는 곳에서까지 지냈지만

끝내 아우슈비츠에 끌려갔다. 하지만 그곳에서 살아나온 그녀들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그녀들은 안네 프랑크의 마지막을 본 그녀들이었다.

 

사실 안네 프랑크를 읽어본적이 있지만 마주치지 못했던 이야기이지만 이런 또 다른 이야기로써 우리들에게 다시금 다가온것이다.

그녀들은 하이 네스트라는 곳에서 사람들을 위해 싸웠고 또 싸웠다. 사실 이것을 읽으면서 왜인지 우리 한국 역시도 이런 이들이 많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그녀들 역시도 그저 음악을 좋아하던 이들이였지만 사람들을 위해 목숨을 건것처럼

우리 옛날 우리들의 조상 역시도 그저 지나가던 사람들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독립군이 되었던것처럼

그래서인지 이 책에 더욱더 눈이 갔던것이 아닐까? 아우슈비츠의 처참한 상황을 알지만 다시금 책으로 새삼느끼게 된다

 

나치가 점령했던 네델란드에는 주민증에 J라는 표식을 했다고 한다.물론 이것이 유대인이라는 증거였는데 

아우슈비츠로 보낼때는 그 주민증을 다른곳으로 놔두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그 상자가 가득찼지만 돌아온사람들이 없다는게

너무나 무섭게 다가왔다. 유대인들을 위해 그곳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자신들의 목숨도 신경쓰지 않는 이들을 보면서 우리는 또 다시 감사하게 된다. 지금의 우리들이 있는것을. 그녀들 역시도 그 처참한 곳에서 살아나올수 있었던 것은

그녀들이 아무런 댓가없이 사람들을 구해준것 때문이 아닐까?

이제 우리들도 우리들의 삶을 위해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