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중독과 전쟁의 시대 - 20세기 제약 산업과 나치 독일의 은밀한 역사
노르만 올러 지음, 박종대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전쟁에서 마약이 쓰여진다는것은 누구나 알만한다. 하지만 2차 세계을 일으킨 독일에서 마약이 쓰여진것은 사실 처음안것이다. 특히나 우리가 TV에서 들었던 마약가지고 독일에서도 만들어진것이 있다니 너무나 놀라웠다.

그리고 처음 마약을 사용한것이 전쟁에서 중요한 수면을 이겨내기 위해서 였다는것이다. 마약이라는것이 그저 쾌락을 위한 도구로만 생각을 했지만 오히려 전쟁을 위해 만들어졌고 그것이 단순히 수면을 이겨내기 위해서였다는것이 너무 놀랍지 않는가?

물론 이것이 단순히 수면을 이겨내는것뿐만 아니라 사람의 정신을 차리게 하는 등 최고의 약이라고 칭해졌지만

그것이 사람의 정신적 신체적 문제를 야기한다는것이 발견이되었지만 독일군에서는 이미 사용되어 졌고 그로인해 처음 독일의 파상적 공세가 가능했던것이다. 처음 전쟁이 시작할때만해도 독일의 전력은 상대가 되지 않았다 군인만 연합군보다 많았지만

그외에 모든것이 연합국에 열세였다 

 

하지만 잠을 자지 않고 깨어있는 그들의 파상적 공세게 연합국은 도망칠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히틀러 역시 자신의 몸을 위해 점차점차 마약을 자기몸에 투여했다는것이 나온다.

그래서 자신의 벙커에서 암살시도가 벌어져 몸에 상처가 났을때도 아파하지 않았다고 한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마약이 야기시키는 문제가 발휘되었을때는 정상적인 명령을 내릴수도 없고 오히려 자신만의 망상에 사로잡혀 있을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의 얼굴 역시도 아주 나빠졌을뿐만 아니라 몸의 상태 역시도 너무나 망가졌다.

그 역시도 마약을 싫어했지만 스트레스로 인한 마약이 점차점차 자신을 망가뜨리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을까?

 

처음 마약을 했을때는 정신이 또렷해지고 좋은 효과가 있었겠지만 그것이 지속될수록 오히려 정신적으로 더 피폐해지는것을 그는 알고 있었을까? 만약 그가 마약을 하지 않았더라면 2차 세계대전이 또 다른 양상으로 바뀌었지 않았을까?

2차 세계대전에 마약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것을 히틀러가 사용했다는 것이 신기하였다.

이제는 이 책에서 나온 마약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많이 퍼진 펜타닐 역시 위험한 마약이다.

우리나라 역시도 마약청정국이 아니라는 것을 정부에서도 밝혔고 그것을 막아내겠다고 한다.

TV에서 보인 펜타닐에 취한 사람들을 보면서 좀비처럼 움직이고 허리가 꺽인 이들을 보면서 

저런 상황이 우리에게도 일어날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물론 마약이라는것이 오남용이 아닌

정말로 필요한데 사용되어 진다면 너무나 좋지 않을까? 그 위험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조심해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