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마다
리사 스코토라인 지음, 권도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시작은 자신이 소시오패스라고 말하면서 시작한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들어보고 알고 있는 단어인 소시오패스

그로인해 이 소설의 흡입력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었을까? 진짜 소시오패스는 누구였을까? 우리 주위에 있는 그들은 과연 누구였을까? 이 책의 주인공인 에릭은 뛰어난 정신과 의사였고 말기암 환자 티크너 부인의 부탁으로 홀로 남을 손자 맥스의 상담을 맡기 시작하는데 그는 15분마다 색상을 말해야 하는 강박장애를 가졌는데 이것이 시작의 발단이였다.

 

할머니가 돌아가셨다며 죽고 싶다는 전화를 끝으로 사라진 맥스를 찾기 위해 맥스의 짝사랑 르네에게 접근했던 에릭은 그녀가 살해되면서 용의자로 몰리게 되고 클라이맥스로 치닫게 된다. 그리고 우리를 더욱더 흥미진진하게 했던 부분이 바로 에릭이라는 주인공이 정신과 의사였기 때문이지 않을까? 비밀유지 서약을 어기지 않고 정말로 자신의 환자를 보호하는 그 상황을 보면서 진짜 저렇게 까지?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만약 나였다라면 어떻게 했을까? 진실을 알렸을까? 아니면 나 역시도 에릭처럼 환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는 의사로 남게 되었을까? 내가 범인으로 몰리고 있는 상황. 어느것하나 쉽게 대답할 수 없는 상황이지 않는가? 

 

마지막에 진짜 범인을 알게 되었을때 3인칭과 1인칭을 왔다갔다 하면서 

나에 대해서 말하게 되었을때 다시 책을 맨앞에서부터 읽는 나를 알 수가 있다. 그때 진짜 나라는 존재를 알수있게 되고 

이 소설을 더 이해할 수가 있게 된다. 내가 생각 했던 범인들이 오히려 범인이 아닐때 한번씩 놀라기도 했다. 분명히 범인 같았는데 뒤로 갈수록 오히려 그들은 범인이 아니었던 것이다. 어디서부터 잘못 읽고 있었을까?

 

처음 소설의 크기에 놀라게 되었지만 나도 모르게 책에 빠져들도 다시 앞으로 돌아가게 만드는 소설이었다. 오히려 저자가 변호사여서 더욱 소설에 흥미롭게 빠지게 되었던것 같다. 우리들 주위에 진짜로 소시오패스가 있다면 과연 어떻게 해야할까? 그들은 그들을 숨기는데 탁월하지만 우리는 그들을 알아볼수가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소설이다. 쉽게 사람을 믿게 되는 것이 무서운 지금. 오히려 이 책이 더욱더 사실로 다가오는것이 더 무섭지 않을까? 진짜로 겪어볼 수 있지 않을까?그들은 언제 어디서나 우리는 보고있고 속일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주위에 그들이 존재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