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진화의 무기, 친화력 - 협력을 통해 무리에서 사회로 도약한 이야기
윌리엄 폰 히펠 지음, 김정아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인간사회에서 다른것이 아니라 친화력이 인류가 진화하는데 사용되었다는것이 참으로 흥미로웠다.

다른것도 아니고 친화력이 왜그랬을까? 이 책은 600~7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이야기가 시작된다.

생각해보면 이 친화력이 예전부터 사용되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큰 동물을 사용할때에도 우리는 협력을 통해 동물을 잡고 그것에 대한것을 배분해왔다. 이때부터  인류에게는 친화력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을까?

큰 동물을 잡을때보다 오히려 정착을 하는 시기부터 이 친화력이 필요했고 그것이 사용되어져 왔다.

이것이야 말로 지금의 사회까지 만들어진 근간인것이다.

 

책에서도 설명하듯이 친화력이 존재하는 코끼리 무리들의 이야기와 이기적인 개코 원숭이 무리들을 보면서

오히려 어떤 무리든지 친화력이라는 것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우리도 이 친화력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다양한것을 하고 그것이 발전을 이룬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어떤것을 할려고 해도 혼자서는 해낼수 없지만 다른 사람과 힘을 합쳐 해내는 것이 많은 것을 알 수가 있다.

물론 혼자서도 이뤄낸 다양한 업적들이 존재하지만 혼자서라면 해낼수 없는 이들이 더 많은 것이다.

 

기원전시대부터 우리 인간은 너무나 약한 종족이라 오히려 이 친화력이라는 능력을 자신들도 모르게 발전해왔지만 이제는 왜인지 더 빠르게 떨어져가는 능력이 되어왔다. 오히려 발전된 시기에서 더욱더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 능력이다.

우리는 종종 한 무리중의 하나라고 인식할때에도 안정감과 행복을 느낀다. 사실 이 친화력이야 말로 우리가 아직도 사용해야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또 다른 힘이 아닐까?

친화력이라는 것을 통해 우리 인간사회의 진화를 알아보는 계기였지만 또 다른 느낌으로는 이제는 조금씩 옅어져 가는 친화력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봐야 하는 계기도 되었다. 사실 인류사회에 친화력이라는 것이 이제와서 생겨난 이야기인줄 알았지만 오히려 예전부터 존재하는 인류의 무기였다는 것이 더욱더 신기하였다. 이것이야말로 우리도 몰랐던 진짜 무기 였던것이다.

친화력이 좋은 사람이 있듯이 우리 사회에도 다시금 친화력에 대해 생각해볼수 있지 않을까?

옛날의 그 많은 사람들에게 느꼈던 그 행복한 느낌을 다시 느낄수 있을까?

여러분들의 친화력은 어떻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