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노란 무엇인가 -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분노를 해석하는 12가지 담론,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버라 H. 로젠와인 지음, 석기용 옮김 / 타인의사유 / 2021년 8월
평점 :
분노란 무엇일까? 예전에 어떤책에서는 현재의 사회가 분노사회라고도 말하는 책이 있었다.
분노가 무엇이기에 사회는 물론 우리에게도 분노가 있는것일까? 분하여 성을 내는 것.
우리가 가지고 있는 많은 감정들중의 하나이지만 이 감정이 나타내는 것은 극단적으로는 위험한 상황까지고 만든다.
요즘은 흔하게 말하는 분노조절장애처럼 분노를 조절하지 못해 타인을 상처를 내는것까지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분노라는것이 무엇이고 이것을 어떻게 사용해야할까? 그저 누군가를 상처줄수밖에 없을까? 왜 하필 그 많은 감정들중에 이런 감정이 있는것일까?
그래서 고대 그리스부터 이 분노라는 감정을 알기 시작했고 이것을 어떻게 해야할까? 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옛날에도 분노가 있었고 그것이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이 이 분노라는 감정을 알지만 꼭 이 분노라는 것이 나쁘다일까?
잘 생각해보면 이 분노라는 감정으로 인해 자신을 더 채찍질 하는 이들이 많을것이다. 영화에서도 이 분노라는 감정이 자신의 능력을 더 끌어올릴때도 사용하는것처럼 우리는 이 분노가 나쁜것만 있지는 않을것이다. 무엇인가 안타까워서도 분노가 나지 않을까?
자신이 더 잘하지 못했던것에 대한 분노도 있듯이 위에서 말한것처럼 누군가에게 상처를 내기 위한 분노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노가 존재한다는 것인데. 저자 역시도 말하는것이 부정적인 분노에 대해 조심하고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도 모르게 남을 아프게할려는 분노를 가질때가 많을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분노조절장애든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는 나쁜 분노 감정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물론 쉽지 않을것이다. 분노라는것이 참으로 다루기 쉽지 않다는 것이지만 이 분노란 감정의 친구를 착한 친구로써도 가져갈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도 아직까지도 분노라는 감정을 친구로 만들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저자가 말한것처럼 나쁜 분노를 피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제 여러분들도 자신도 모르게 표출했던 나쁜 분노를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분들은 분노를 잘 표출하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