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그런 정답은 없다 - ‘오늘의 식탁’에서 찾아낸, 음식에 관한 흔한 착각
정재훈 지음 / 동아시아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보문고 신간매대를 둘러보던중 발견하고 구입한 책이다. 저자의 전작인 [정재훈의 식탑]이라는 책도 관심있게 읽었고, 전문성이 매우 떨어지기는 하지만 음식점에 관한 글을 블로그에 올리고 있기에 보강차원에서 읽어봤다.


저자는 현직 약사로 푸드라이터다. TV, 라디오, 팟캐스트, 잡지 등 여러 매체에서 음식과 약에 대해 글을 쓰고 있다. 이 책도 [올리브]라는 잡지에 4년간 올린 기사를 모아서 엮어냈다. 그때 그때 화제가 됐던 음식이나 아니몀 우리가 음식에 알고 있던 상식이 잘못됐다는 근거를 조목조목 제시하며 알려주고 있다. 여러모로 음식에 관한 다양한 배경지식을 얻을 수 있어 유익했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아카데미상을 휩쓸며 세계적인 화제가 됐을때 영화에서 주요하게 다뤄진 한우채끝살 짜파구리에 대해 재미있는 시각으로 음식을 분석한다. 소개글을 통해 저자의 생각을 알아보자면,


"라면은 본능적으로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어린이들도 쉽게 좋아한다. 하지만 질긴 텍스처의 소고기는 싫어하는 아이들이 많다. 많이 먹어본 경험이 있어야 맛있다고 느끼는 어른의 음식인 것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식품자원경제학 연구자들에 따르면 계층별 음식 선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영양학적 지식의 차이가 아닌 누적된 경험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 때문이다. 즉, 자주 접해서 친숙한 맛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것이다. 경제적인 여건 때문에 다양한 음식을 시도할 경험이 부족하다면 입맛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다송이 엄마는 왜 짜파구리에 한우 채끝살을 넣었을까. 오늘날 부유층이 자신들이 먹는 음식을 선택함으로써 사회적으로 경계선을 긋고 있다는 [식탁 위의 쾌락]의 저자 하이드룬 메르클레의 지적처럼, 다송이 엄마 역시 한우 채끝살로 어떤 경계선을 자녀의 마음에도 긋고 싶어 한 것이다. 이렇듯 음식의 가치는 사회적 영향을 받는다."


아울러 한국 사람은 김치를 먹어서 건강하다는 등 음식의 효능에 대한 과도한 믿음에 대해서도 저자는 문제를 제기한다. 사스가 유행했을때 한국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건 김치때문이라는 말이 돌았는데, 이후 사스의 사촌인 메르스의 유행으로 잘못된 통념이었다는 사실을 준거한다. 


개인적으로 집밥을 먹으면 건강해질까?라는 의문을 평소 가져왔는데 저자의 글을 읽고 꼭 그렇지 않다는 사실도 알게됐다. 저자는 코로나로 인해 집에서 더 자주 요리해 먹었음에도 체중이 증가한 사람이 많았다는 사실에 착안한다. 집에서 요리한다고 갑자기 입맛이 바뀌어 설탕, 소금, 지방을 적게 넣는 것이 아니며,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운동량은 줄고 걱정과 불안이 늘어나 달콤한 간식과 음료를 더 많이 찾는 것도 영향도 있다.


뿐만 아니라 어디까지가 직접 한 요리인지 그 경계도 모호하다. 밀키트는 어떤가? 분업화된 주방에서 전처리를 마친 재료로 요리사가 요리한다고 요리가 아니라 할 수 없듯이, 직접 재료를 씻고 썰지 않았다고 요리가 아닐 수는 없다. 우리는 직접 요리해서 먹으면 더 건강해질 것이라는 흔한 착각에 빠지기 쉽지만, 사실, 그런 정답은 없고 현실은 복잡하다고 말한다.


이 책은 우리가 알고 있던 음식 문화에 질문을 던지고, 흔히 유통되는 정답들이 진실인지 확인해보며, 착각에 가려졌던 다양한 스토리를 발견해 알려준다. 저자는 각종 유행 다이어트, 배달 앱, 먹방, 혼밥, 채식, 식당 별점, 디저트, 반려동물의 음식, 대체육, 명절 선물 세트, 못난이 농산물 등 음식과 식문화 41가지를 탐구한다. 음식에 관심이 있다면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