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 목소리는 어떻게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가?
존 콜라핀토 지음, 고현석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목소리는 과연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가끔 프리젠테이션이나 고객을 만나서 설명할때가 있다. 그날 컨디션이나 특히 목소리에 따라 일의 성사여부가 어느 정도 가늠이 되는데, 자신있는 목소리는 상당히 주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반대로 다른 사람들이 의견을 개진할때 목소리를 들어보면,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여질까 생각된다.


저자는 [타고난 성, 만들어진 성]으로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에 올랐던 뉴욕의 베테랑 저널리스트 존 콘라핀토로 자신이 아마츄어 밴드활동을 하다가 겪은 성대 손상을 바탕으로 목소리에 대한 책을 쓰게됐다. 나아가 오로지 목소리만으로, 뇌과학, 인문학, 진화생물학, 인류학, 언어학 그리고 사회학까지 다양한 분야로 자세하게 파헤친다.


뿐만 아니라 아기가 어떻게 목소리를 인지하고 말을 배우며, 목소리는 어디에서 왔는지, 젠더와 목소리의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사회적.정치적으로 목소리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그리고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노래가 가지는 힘은 무엇인지까지, 목소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언급하고 있다.


목소리는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실제 사례를 들어가며 재미있게 서술한다.


- 발음이 정확하지 않던 아이가 자라면서 또렷하게 발음할 수 있는 이유는?
- 인간처럼 말하는 기관을 모두 가지고 있음에도 유인원이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 녹음된 자신의 목소리가 실제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 암컷과 수컷의 목소리가 같은 동물과 달리 남녀의 목소리는 차이가 나는 이유는?
- 사진을 찍을 때 추즈라고 하지 않고 치즈라고 하는 이유는?
- 히틀러의 연설이 폭력 사태로 이어졌던 이유는?
- 오바마가 추도 예배에서 노래를 부른 이유는?


인간이 비슷한 계통으로 분류되는 유인원류와 다른 결정적인 원인은 목소리로 말을 할 수 있다는데 있다. 목소리는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며 아울러 신체구조의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차별점이다. 만약 목소리가 없었더라면 인간은 맹수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상당한 곤란을 겪었을것이다.


결국 우리는 말을 함으로 진정한 인간이 됐다. 목소리는 신호나 글 또는 다른 모든 종류의 의사소통 수단에는 없는 이점이 있다. 몸짓언어보다 약 5배 빠르게 단어를 전달하며, 소리가 들리는 거리 안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빠르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목소리는 인간 생존에 꼭 필요한 능력인 셈이다.


이 책은 아기가 태어나 처음 세상에 던지는 울음부터 목소리가 나이 들어가는 과정까지, 인간의 탄생으로 시작해 노화로 마무리되는 기승전결로 구성됐다. 아울러 정치인들이 목소리를 이용해 어떻게 프로파간다를 활용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지점을 고찰하는 부분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아무튼 목소리에 대한 모든것이 인문학적으로 담겨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