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예정된 전쟁 :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그리고 한반도의 운명 -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그리고 한반도의 운명
그레이엄 앨리슨 지음, 정혜윤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보샘 샘통북통 패키지로 읽어준 전자책이다. 카피 문구에 "세계대전을 막을 수 있는 책이 있다면, 이 책이 바로 그런 책이다"라는 말이 적혀있는데 그에 걸맞게 내용이 상당히 알차다. 저자가 미국인이니만큼 아무래도 미국 중심의 세계관이 어느 정도 견지되지만, 그래도 객과적인 시각으로 투키디데스의 함정을 통해 한창 진행중인 미중패권전쟁에 대한 상당히 합리적으로 분석하고 전망한다.


책에서 핵심으로 다뤄지고 있는 투키디데스의 함정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자면,


"새로 부상하는 세력이 지배세력의 자리를 빼앗으려고 위협해올 때 극심한 구조적 긴장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1995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 하버드대 벨퍼 국제문제연구소장을 지낸 정치학자 그레이엄 앨리슨은 그의 저서 [불가피한 전쟁(Destined for War, 2017)]에서 세계 도처에서 주도권 다툼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투키디데스 함정에 빠져, 서로 원치 않는 전쟁으로 치닫고 있다고 분석했다.


앨리슨은 그리스의 역사가 투키디데스가 기술한 펠로폰네소스전쟁(기원전 431~404)이 급격히 부상하던 아테네와 이를 견제하려는 스파르타가 빚어낸 구조적 긴장관계의 결과였다고 설명하고, 이를 투키디데스 함정이라 불렀다. 당시 상황은 현재의 미.중 관계와 판박이인데, 지난 500년간 지구에서 발생한 투키디데스 함정은 16차례였고, 이 중 12차례가 전면전으로 이어졌다는 게 그의 집계다.

경제적으로는 2014년 이미 미국보다 몸집이 커진 중국의 도전, 헤게모니를 포기할 수 없는 미국, 그리고 이 두 거대국가를 이끌고 있는 시진핑과 도널드 트럼프 둘 모두 위대한 국가를 외치며 충돌하는 상황에서 17번째 전면전 가능성은 심각(grim)해졌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중국이 야망을 축소하거나 아니면 미국이 중국에 1등 앞자리를 내주고 2등 뒷자리에 만족하겠다고 물러서지 않는 한 무역분쟁, 사이버공격, 해상에서의 충돌 등은 곧바로 전면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절박한 상태라는 게 그의 평가다.(한경 경제용어사전 발췌)"


이미 경제용어사전에 등재될만큼 잘 알려진 용어인데 그만큼 저자의 견해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객관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위에 발췌된 내용이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대부분의 내용을 담고 있다. 조지 오웰이 말했듯이 과거를 지배하는 자가 현재를 지배하듯이 우리는 역사로부터 교훈을 얻어 예정된 충돌을 막아야 한다.

저자인 그레이엄 앨리슨은 미국과 중국이 충돌할 가능성을 냉정하게 평가하고 한반도의 역할과 국제 정치의 역학관계, 외교적 딜레마 등에 관해 깊이 있는 관점을 펼쳐 보이는 한편, 제3차 세계전쟁을 막기 위한 조언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지금 중국과 미국은 어느 쪽도 원치 않는 전쟁을 향해 다가가고 있는데 이는 바로 투키디데스 함정의 역설에 기인한다.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고대 그리스를 폐허로 만들었던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신흥국 아테네의 부상에 대한 패권국 스파르타의 두려움 때문에 일어났다고 설명했고, 지난 500년 동안 이런 상황이 16번 발생해 그중 12번이 결국 전쟁으로 귀결됐다. 저자는 미국과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관계가 17번째 사례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지난 500년 동안의 역사적 기록을 살펴 전쟁이 일어나는 역학 관계의 기본 구조를 발견한 저자는 강대국 간의 패권 경쟁이 결국 전쟁으로 이어지는 이유는 결국 구조적 긴장의 깊이에 있다고 이야기한다. 자국의 이익, 과대한 공포, 자존심이라는 명예가 심하게 얽힐수록 전쟁으로 치닫게 된다고 말하며 통찰력 있는 의견을 제시한다. 좋은 책이다. 한국인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볼만한 양서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