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는 스스로 객관적인 거울을 형성하기 어렵다. 부모라는 거울을 통해 처음으로 자기 모습을 비추어본다. 그러나 나르시시즘이 강한 부모가 아이의 모습을 잘 보여줄 거울이 될 거라고는 기대할 수 없다. 이런 부모는 자녀를 교육할 때 자신의 권력과 권위를 보여주기 위해 훈계하기를 즐긴다. "네 일은 내가 결정할 거고, 내 말에 따르지 않으면 대가가 따를 것이다."라는 논리를 기반으로 한다.
상대방의 잘못을 싸울 때마다 언급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행위는 그 순간에 상대방의 자존심을 깨뜨려 자신이 확실하게 우월하다는 관계를 설정하고 우위를 점하려는 작전이다. 사랑이 부족하면 심각하게 우열을 가리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관계에서권력의 경쟁만 부각해 통제감과 우월감을 점유하고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이다. 관계에 사랑과 행복이 담겨 있음을 안다면 지배적 관계에서 벗어나 감정적 평등을 유도하고 돕는다.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기 부담스러워하는 사람은 분명히 자신에게 청하는 다른 사람의 부탁도 싫어한다. 그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 그는 외로움이라는 상자에 갇힌 모습으로 살아가게 된다. 사실 관계의 본질은 서로를 귀찮게 하면서 서로 알아가고 감정을공유할 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형편없는 사람은 연약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상대를 공격한다. 이에 관계 개선을 위해 미안해하거나 반성하면 오히려 괴로움을 당할 것이다. 그의 이기심을 충족시켜주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이기적인 사람을 상대하는 가장 좋은 생존 방식은 희생하지 않고, 반성하지 않으면서 불만을 늘어놓는 것이다. 그러면 상대는 기세가 꺾이고 다소 움츠러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