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분석입문 - 네러티브영화의 기술과 의미
마이클 라이언.멜리사 레노스 지음, 홍애자 옮김 / 문학관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언젠가는 영화에 관한 글들을 제대로 쓰고 싶어 시간날때마다 관련 서적을 읽어주고 있다. 은퇴하게 되면 이론적으로 공부를 해볼 생각도 막연하게 가지고 있지만 과연 실현이 될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다소나마 이렇게 배움에 대한 갈증을 채우는걸로 달래주고 있다. 도서관 신간 코너에서 발견하고 대출한 책이다.(가지고 있는 책들도 아직 안 읽었는데 이렇게 욕심만 앞서니 언제 다 읽을런지 원!!)


다소 딱딱해 보이는 제목과 달리 그렇게 어렵게 읽히는 책은 아니다. 몇 가지 영화를 언급하며 어떻게 분석할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와 장면에 대한 분석을 요하는 실습과제까지 실려있어 영화를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적당한 책으로 보인다.


특히 영화비평을 중점으로 다룬 책인데 평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볼만한 책이다.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옮긴이의 말
서문(INTRODUCTION) 
영화에서의 의미(MEANING IN MOVIES)
샷 분석(SHOT-BY-SHOT ANALYSIS)
영화에 대한 글쓰기(WRITING ABOUT FILM) 
PART Ⅰ. 기술과 의미(Technique and Meaning) 
1. 화면 구성(Composition)
2. 카메라 작업(Camera Work)
3. 편집(Editing) 
4. 아트 디렉션(Art Direction) 
5. 내레이션(Narration) 
6. 메타포, 구조, 인물, 모티브(Metaphor, Structure, Character, Motif) 
7. 영화 양식(Film Style: Realism and Expressionism) 
PART Ⅱ. 비평적 분석(Critical Analysis) 
8. 역사적 비평(Historical Criticism)
9. 구조주의 비평(Structuralist Criticism)
10. 심리적 비평(Psychological Criticism)
11. 이념적 비평(Ideological Criticism) 
12. 젠더 비평(Gender Criticism)
13. 인종주의 비평(Ethnic Criticism)
14. 정치적 비평(Political Criticism) 
15. 후기 구조주의 비평(Poststructuralist Criticism) 
16. 과학적 비평(Scientific Criticism)



1장은 기술적인 분석에 대해 다뤘고 2장은 영화를 어떤 관점으로 비평할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다. 일본 여행시 오며 가며 잘 읽었는데 2장의 뒷 부분에 인쇄본이 파쇄되어있어 제대로 읽지 못한게 아쉬움으로 남는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다시 한 번 읽어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