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오마가린 왕자 도난 사건
필립 스테드 지음, 에린 스테드 그림, 김경주 옮김, 마크 트웨인 원작 / arte(아르테)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가지로 의미가 있는 동화책이다. 미국의 대문호인 마크 트웨인의 유일한 미완성 동화(사실 정식으로 쓴건 아니고 딸들에게 들려주던 이야기를 메모로 남긴것)를 칼데콧 수상작가들이 이어서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엮어낸 책이다. 책을 읽으며 냇 킹 콜과 나탈리 콜이 언포겟어블을 부르는 느낌을 받았다고 하면 조금 오바일까 싶지만, 작가 필립 스테드가 마크 트웨인과 같이 동화를 만드는 느낌의 대화가 아주 좋았다. 사후생이 있다면 마크 트웨인이 흐뭇하게 미소를 짓지 않았을까 싶다.


가난한 고아 소년인 조니가 모험을 겪으며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 짧은 동화다. 하지만 이야기속에 인간들의 무자비한 측면과 환경에 대한 우려 그리고 작가의 주인공 소년에 대한 따스한 시선이 녹아들어간 작품이다. 아울러 누구나 읽었을법한 소설인 톰 소여에서 보여주는 마크 트웨인 특유의 해학도 살짝 엿볼 수 있다.


묻혀졌던 동화가 발굴된 계기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요리 레시피를 검색하다가 찾았다고 한다.


˝마크 트웨인 사후 이 노트는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의 ‘마크 트웨인 기록 보관소’로 옮겨졌다. 그리고 100여 년이 지난 2011년, 마크 트웨인 연구자인 존 버드 박사가 마크 트웨인 요리책을 구성하기 위해 요리 관련 자료를 찾다가 ‘올레오마가린’이라는 단어가 있는 이 자료를 신청하면서 다시 존재를 드러냈다. 하지만 이 자료는 요리에 관한 자료가 아니었고, 마크 트웨인이 파리에 머물 당시 아이들에게 들려주었다고 일기에서 언급한 미완성 동화였던 것이다.˝


재미 있는 계기가 아닐 수 없다. 아무튼 그렇게 찾아진 미완성 메모를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책으로 만들어냈다고 한다.



˝그렇만 일부 장면만 남아 100년 넘게 기록 보관소에서 잠자고 있던 미완성 동화를 책으로 엮어내는 일은 쉽지 않았다. 칼데콧상을 수상한 작가 필립과 삽화가 에린 스테드 부부가 이 작업을 맡았다. 필립은 마크 트웨인이 남긴 글들을 출발점으로 삼았고, 자신과 마크 트웨인이 주고받은 대화를 바탕으로 이야기가 구성된다고 상상하며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미시간호수의 비버섬으로 내려간 필립은 마크 트웨인이 남긴 스토리 라인과 기록물에서 찾아낸 구체적인 인용문으로 이야기를 시작해, 자신의 문장과 트웨인이 남긴 미완성 동화를 자연스럽게 섞어 1만 단어 분량의 원고로 엮었다. 에린 스테드는 고전적 재료와 최첨단 기법, 예를 들면 목판, 잉크, 연필, 레이저 커팅 등을 조화롭게 사용해서 익살맞고 유머 감각이 넘치면서도 감동을 주는 아름다운 삽화를 그려 새로운 탄생한 이야기를 더욱 빛내주었다.˝



칼데콧 수상작가들이 공을 들인만큼 삽화가 아름답고 이야기도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전개된다. 아이와 부모 모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동화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