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은 아기 고래도 춤추게 한다, 생각의 속도로 실행하라>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칭찬은 아기 고래도 춤추게 한다 - 작은 악마를 천사로 만드는 12가지 칭찬 기술
켄 블랜차드 외 지음, 박슬라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1월
평점 :
다 자란 범고래는 길이가 5~7m, 몸무게가 5,500 킬로미터나 되는 바다의 무서운 포식자라고 한다. 이런 범고래를 나약한 인간이 훈련시킨다는 게 말이나 될까?
이 의문에 대해서 나는 씨월드의 수석 조련사인 클린트외 다른 범고래 조련사를 통해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 나는 지금까지 그들이 제시한 해선 안될 행동들을 당연스레 내 주변인들에게 적용하며 살아왔다. 내 주변인이 어른이든 아이든 나는 같은 룰을 적용해 왔으며 그 결과는 만족스럽다기 보다는 일시적인 변화나 동일한 상황의 반복 뿐이었다.
즉, 나는 사람들의 잘한 행동에 대해서는 절대 호들갑을 떨지 않았으며 그것이 당연하지 않냐는 암묵적 반응 내지는 '정말 잘했다'라는 짧은 피드백을 제공했을 뿐이었다. 문제는 잘못한 행동에 대한 피드백이 너무 강해서 상대방이 자신의 긍정적인 변화를 못 느끼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상대방의 변화는 너무 더디었고 중간 중간 나타나는 잘못된 행동에 대해 나는 인내심과 끈기가 부족했었다.
 |
|
|
|
1.성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라.
2. 실패하거나 잘하지 못해도 이를 무시하고 관심을 전환하라.
3. 성공을 보상하라.
|
|
|
|
 |
'칭찬은 아기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범고래 조련사 훈련생이자 '조쉬'라는 아들을 둔 '에이미'가 범고래 훈련 과정이 어떻게 어린 조쉬에게도 적용되는지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위의 세 가지 룰은 범고래 훈련에 쓰이는 가장 기본이 되는 뼈대라고 할 수 있다. 에이미는 조쉬가 하는 여러가지 행동들 - 혼자 자려하지 않기,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떼 쓰기, 원하지 않는 음식 먹지 않기, 공갈 젖꼭지나 장난감같은 소유물에 집착 행동 보이기 등 - 에 위의 룰이 어떻게 적용될수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
|
|
|
성공은 단순히 결승점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조금씩 접근해가는 일련의 과정이야. 그리고 결승점에 한 발짝씩 가까이 다가갈 때마다 그 노력을 인정하고 보상해주어야 해. 중요한 것은 범고래들이 자기가 한 일에 대해 기분 좋게 느끼거나 뿌듯해 해야 한다는 거야. |
|
|
|
 |
발명왕 에디슨은 어린 시절 '저능아'로 불렸다고 한다.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헛간을 불태운다든지 알을 부화하기 위해 거위소리와 날개짓마저도 흉내냈으니 얼마나 바보같아 보였을지. 하지만 에디슨의 어머니는 에디슨이 잘 될거라는 믿음과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렸고 그로 인한 결과는 에디슨을 천재적인 발명가이자 사업가로 만들었다. 아들의 유별난 행동에 여느 부모처럼 '안돼'라는 말만 반복했다면 과연 에디슨이 지금처럼 기억될 수 있을지..
중요한 것은 실패한 행동에 대해서는 인내심과 끈기를 가지고 기다려 주는 것이다. 우리조차도 단숨에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면서 주변사람들이나 우리 아이들에게는 마법과 같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또 다른 조련사인 '킴 리'는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 있어 참고 참고 또 참아야 하며 인내심이 바닥이 났을 때쯤이면 끈기를 발휘해야 한다고 말한다.
 |
|
|
|
부모와 아이 양쪽 모두에게 있어 좋은 행동에 대해 의외의 칭찬이나 상을 주는 것만큼 좋은 보상은 없다. 예상치도 못했던 보상을 받는 기쁨은 그 자체로 훌륭한 강화가 된다. 중요한 것은 언제나 똑같은 보상을 이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늘 똑같이 반복되는 보상은 결과적으로 강화물로서의 가치를 잃는다. 명심하라. 당신은 언제나 아이의 올바른 행동에만 초점을 맞춰야 한다. 즉 '잘한 일을 잡아내야' 하는 것이다. |
|
|
|
 |
우리는 늘 내 아이나 주변사람들의 행동을 세심하게 관찰해야 하며 그들이 어느 순간 바른 행동을 했을 때 즉각적인 보상을 해야한다. 조쉬와 같은 아이들의 경우 호들갑스러운 말이라든지 칭찬 스티커, 혹은 아이가 좋아하는 간식이나 물건을 주머니 등에 담아 스스로 고르게 함으로써 자신의 바른 행동을 조금씩 강화하게 만드는 것이다.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는 미혼인 나와는 그다지 상관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이런 여러가지 조언들은 비단 자녀를 둔 부모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가족이나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같은 어른에게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과연 성인인 내가 조쉬와 다른 게 뭔지. 비난과 비평이라는 부정적인 강화를 내려놓고 이제는 칭찬이라는 강한 보상을 나와 내 주변사람들에게 적용해볼 차례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