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쉬고 싶을 때, 책을 편안하게 오래 읽고 싶을 때. 집에서 자꾸 나가게 된다. 책 읽기 좋은 공간을 찾아다니고, 그런 공간을 만나면 마음이 설레어 다른 시공에서도 그 곳을 자꾸 그리워하게 된다. 근데 사실 난 집순이. 청춘팔팔했을 때에도 밖에서 빨빨거리고 다니는건 다니는거고, 나홀로 집에서만 먹고자고놀아도 즐겁게 몇박몇일 가능한 인간. 집은 그렇게 밖에서 소진된 나의 에너지를 충전해 주는 곳. 밧데리 자동충전소.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나의 집은 내게 더 이상 그런 공간이 아니게 되었다. 티비를 켜지 않고, 음악도 듣지 않는데 그저 시끄럽다. 소곤소곤 말을 건네던, 또는 고요하게 멍 때릴수 있는 나의 집이 아니라, 상처와 부담, 후회와 방임이 집구석 여기저기 덕지덕지 붙어 내게 소리친다. 빨리 어떻게 좀 하라고. 아.. 시끄럽고 답답해. 그래서 집에서 적당히 떨어진 카페나 공원, 도서관으로 돌아다니고, 여유가 좀더 있을 때면 3-40분 차를 타고나가 조용한 파주의 도서관에 가서 가져간 책을 읽는다. 

친구가 이런 내게 말한다. 이상해. 무슨 책을 거기까지 가서 읽어? 

그러게. 집 안에 숨겨둔 내 꼬라지가 맘에 안드나봐. 그럼 밖에 나오면 그럴싸해 보이나. 그건 아니구, 집구석에 묻어 있는 나의 고민들로부터 도망가는거지. 잠시라도 온전한 마음의 평화를 위하여.


 나도 좀더 적극적으로 뭔가 다른 형태의 삶을 찾고 싶다. 간단히 말하면 다시 혼자 살고 싶다는 거지. 나도 이렇게 말하고 싶다. 여자 혼자 자알 살고 있습니다요!



 



  

p.82 (술이 인생을 바꾼 순간, 아무튼 술)

지금까지 가본 어떤 집보다도 말이 많은 집이었다. 책이 많아서도, 낡고 오래돼서도 아니었다. 그런 집들은 살면서 얼마든지 가봤다. 이 집이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어느 것 하나 허투루 있는 게 없다는 점이었다. (… )
그러니까, 그 집은 최선을 다하고 있는 집이었다. 별생각 없이 적당히 구색만 맞추고 살 뿐 물건 하나하나에 딱히 애정이 없고, 사놓고 안 쓰는 물건과 써야 하는데 안 사둔 물건들이 항시 생기는 나태한 나의 집과는 전혀 다른 집. 단정한 삶을 꾸려가는 주인의 심지가 중심에 단단히 박힌 집. (…)
이 집이 소곤대는 이야기들이 나는 무척 좋았다.

p.64 <상처를 몽땅 흡수한 물건들로부터 달아나기 中, 여행의 이유>

오래 살아온 집에는 상처가 있다. 지워지지 않는 벽지의 얼룩처럼 온갖 기억들이 집 여기저기에 들러붙어 있다. 가족에게 받은 고통, 내가 그들에게 주었거나, 그들로부터 들은 뼈아픈 말들은 사라지지 않고 집 구석구석에 묻어 있다. 집은 안식의 공간이(어야)지만 상처의 쇼윈도이기도 하다.
(…) 잠깐 머무는 호텔에서 우리는 ‘슬픔을 몽땅 흡수한 것처럼 보이는 물건’들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롭다. 모든 것이 제자리에 잘 정리되어 있으며, 설령 어질러진다 해도 떠나면 그만이다. 호텔 청소의 기본 원칙은 이미 다녀간 투숙객의 흔적을 완벽히 제거하는 것이다.

호텔은 집요하게 기억을 지운다. 이전 투숙객의 기억은 물론이거니와 내가 전날 남겼던 생활의 흔적도 지워지거나 살짝 달라져 있다. (…) 어제와 다르지 않은 오늘이 끝없이 반복되는 듯하다. 그래서 일상사가 번다하고 골치 아플수록 여행지의 호텔은 더 큰 만족을 준다. 적어도 그 순간만큼은 그 문제들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고 나에게 그 어떤 영향도 주지 못할 것만 같다. 삶이 부과하는 문제가 까다로울수록 나는 여행을 더 갈망했다. 그것은 리셋에 대한 희망이었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9-07-03 2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집이 저한테 시끄럽게 굴지도 않고 위협을 가하지도 않지만, 그럼에도 읽기 위해 자꾸만 밖으로 나가 버리는 마음은 잘 알 것 같습니다. 북마살이라고 부르는 것인데.....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 혼자도 결혼도 아닌, 조립식 가족의 탄생
김하나.황선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여자 둘이든 남녀 커플이든 남자 둘이든간에 같이 살면 공동체인거다. 공동체의 안녕을 위해 서로 함께 노력해야 하는 것은 구성원의 성별과 상관없이 기초중의 기초. 이 두 사람의 선택에 따라 삶의 형태가 또어떻게 달라질지는 모르겠으나 암튼 현재 모습은 참 밝고 행복해보여 부럽고 부러울따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랬다. 와인에 대해 뭣도 모를때. 콜크를 따고 따르는 첫소리.
롱롱롱롱롱
무지갯빛 영롱한 소리
롱롱롱롱롱
이 소리에 귀가 한번 열리고 나니 정말 눈물이 날 만큼 좋은거다. (진짜 눈물도 났었다. 이 무슨 정신상태..;;;)
롱롱롱롱롱
그 소리에 홀딱 빠져서 하루걸러 와인병을 따게 되고.
한번 오픈한 와인은 맛이 변하니 남기지 말고 다 마셔야지. 그리고 다음날 아주 메롱롱롱한 상태로 기다시피 출근하는 뫼비우스의 띠에 승차하게 되면서..
결국 와인을 끊었다.
김혼비처럼 취향의 확장과 감당의 깜냥의 이유라기보다는 내 비루한 주량의 깜냥과 직장생활의 정상화를 이유로.

p.33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가장 좋아하는 소리는 소주병을 따고 첫 잔을 따를 때 나는 소리다. 똘똘똘똘과 꼴꼴꼴꼴 사이 어디쯤에 있는, 초미니 서브 우퍼로 약간의 울림을 더한 것 같은 이 청아한 소리는 들을 때마다 마음까지 맑아진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1-16 16: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무식쟁이 2020-01-16 16:48   좋아요 1 | URL
그냥 다짐만 하신거죠?

2020-01-16 16: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무튼, 술 - 오늘의 술을 피하기 위해서 우리는 늘 어제 마신 사람이 되어야 한다 아무튼 시리즈 20
김혼비 지음 / 제철소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술을 즐길 줄 아는 이라면. 차량용 흔들이 인형처럼 절로 고개를 끄덕끄덕 거리며 보게 되는 책. 김혼비 작가는 아무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행의 이유 - 김영하 산문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작가는 작가. ‘여행’을 가지고 책과 인생과 ‘소설’을 이야기함. 이 책을 여행할 수 있어서 삶이 보다 풍요로워진 독자 1인. 여기 추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