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 우리 역사로 되살아난 신화와 전설 청소년 철학창고 35
일연 지음, 고은수 엮음 / 풀빛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풀빛의 청소년 철학창고 서른다섯번째 이야기에요.

역사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맨 먼저 접하는 것이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제 경우 학창시절에 일연의 삼국유사,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중얼중얼 외웠으나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을 잘 모르고 있었는데

저자께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고 있네요.

삼국사기는 문벌 귀족들이 정치를 주도하던 고려전기에 쓰여졌고,

삼국유사는 무신들이 권력을 잡은 전기와는 크게 달라진 고려후기에

이런 혼란기를 겪은 스님에 의해 저술되었네요.

저자들의 사상도 다르고, 시대적 배경도 다르기에

같은 역사서라해도 분위기가 다를수 밖에 없겠더라구요.

전해내려오던 설화도 싣고 있고, 신화적인 맛이 많이 가미된

 삼국유사가 고대사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해주고, 재미도 있네요.

제 경우, 학창시절 역사를 워낙 싫어해서 역사에 대한 지식이 얕은 편인데

아이의 역사책들을 읽으면서 역사에 흥미를 갖게 되었는데요.

아동기때에 읽었던 책들과는 분위기도 그렇고, 깊이도 상당한 차이가 있어요.

먼저 삼국유사에 관해서 살펴보고, 그 특징과 역사적 의미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지요.

 

 

1부는 1장 단군신화에서 부터 고조선, 해모수, 주몽, 비류와 온조, 박혁거세,

김수로와 허황옥,석탈해, 김알지,

연오랑과 세오녀, 김제상, 비처왕,지증왕, 진흥왕,도화녀,진평왕,서동과 선화 공주,

김유신, 무열왕,문무왕, 만파식적,수로부인,혜공왕,

원성왕,장보고, 경문왕, 처용,거타지,경순왕의 이야기가 나오네요.

삼국사기등 다른 기록들과 비교하면서 읽을수 있어서 좋더라구요.

여러 설화들을 재밌게 살펴보던중

 여러 설화를 그대로 가져와 짜집기해놓은 설화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네요.

이와같이 삼국유사 1부에서는 왕들의 연대기와 왕들의 신이를 다룬 역사이야기가 나오고,

2부에서는  불교신앙과 관련된 내용이 나오는데요.

불교이야기를 크게 다룬 것도 저자 일연이 스님이었던 점을 감안하지 않을수 없네요.

뒤늦게 불교를 받아들인 신라이야기로 시작해

원광,자장,원효,의상 여러스님들,

절과 탑, 불상들, 그리고, 평범한 사람들의 감동적인 삶까지 재밌게 살펴볼수 있었네요.

뒷쪽 부록에서는 삼국유사가 과연 어떤 책인지,

그리고, 책의 저자 일연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생애 연보와 지도도 살펴볼수 있었네요.

삼국유사는 단군 신화가 수록된 최초의 책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큰데요.

삼국유사에서만 볼수 있는 가야에 관한 이야기며 신라인들의 14수 향가를 통해

우리 선조들의 정신세계를 엿볼수 있지요.

역사서 로써뿐만 아니라 종교, 설화,문학,철학,사회학등 통합적인 성격을 가진 책으로

다양한 지식을 쌓는데도 도움이 되지요.

신채호님의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이 있듯이

우리의 역사 하나하나가 소중하고 값진 것임을 다시한번 되새기게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