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무영 교수가 들려주는 빗물의 비밀 출동! 지구 구조대 1
한무영 지음, 소복이 그림 / 리잼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을 읽기전까지는 빗물이 이렇게 깨끗한 것인지 몰랐었네요..

비오면 산성비라며 머리부터 가렸었는데..그건 오해였네요..ㅋ

오히려 빗물로 버리를 감으면 훨씬 보드랍고 비누도 적게 든다고 하니 빗물을 이용하고 싶단 생각도 드네요..

저역시 물을 아무렇지도 않게 펑펑 쓰는 경향이 있었는데..아프리카의 보츠와나의 이야기를 들으니

물을 아껴써야겠다는 생각뿐만 아니라,,빗물을 잘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에너지가 절약되리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또 우리 조상들의 생활을 통해 그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는데요.. 조상들의 논농사가 빗물관리에 쓸모가 있는 훌륭한 소규모의 댐 역할을 했다는 점도 놀라웠네요.

조선시대 3대 저수지인 김제 벽골제,상주 공검지 제천 의림지도 만나보았지요..

엄마인 저도 예전에 암기했던 기억이 나는데..아이들 공부하는데도 참 도움이 되겠어요..

세종대왕때의 측우기는 강우를 측정해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고...지구의 강수량의 시간적 변화도 비교 할 수 있었다니..

참 놀라워요..이런 측우기는 이탈리아의 베네데토 카스텔리가 만든 우량계보다 200년이나 앞서 발명된것이라고 하니 더욱더 우리 조상들이 존경스럽네요.

요즘 환경문제가 심각해 가뭄이나 홍수,폭우 피해가 빈번한데요..이런 물은 갑자기 늘어나 지하로 흡수되지 않고 바다로 빠져버리기때문에 비가 그친후에 사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든다고 하네요..지구온난화..얘기는 많이 들었지만..여기까지는 생각하지 못했었는데..빗물을 이용해 지하수를 채우는 일이 시급할것 같네요..

빗물을 이용한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를 보니 선진국보다는 수도시설이 부족했던 후진국에서 빗물 이용을 생활화하고 실천했던것 같은데요..우리나라도 이제는 물을 물쓰듯이 하는 습관을 버리고 좀더 물을 아껴쓰는 생활 습관을 들여야겠어요..

아울러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도 더욱더 연구해야지 싶네요.

물의 소중함과 빗물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던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