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문학에 취하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그림, 문학에 취하다 -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
고연희 지음 / 아트북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옛 성현들의 글이나 그림을 문득 감상하게 될 때면 그 안에서 알 수 없는 묘하고 그윽한 향기가 전해져 오는 것 같기도 하고, 바쁜 현대생활에 쫓기며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때로 마음의 푸근한 여유라고나 할까 같은 유유자적함이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해서 왠지 모를 편안함을 느낄 때가 있다. 물론 이에 대해 각자 성향에 따라 생각하는 것과 느끼는바가 모두 같을 수는 없겠지만 그 감상의 정도를 깊이 겪어 본 사람이라면 아마도 이런 의견에 일부 동의하리라는 생각이다. 또 하나는 고도로 압축된 형식을 지니고 있으면서 사상과 정서를 유기적으로 담고 있는 시문학을 읽고 있노라면 단순하게 그저 내용에만 머물러 그치고 마는 것이 아닌 운율적인 음악의 요소나 회화적인 이미지가 쉽게 머릿속에 불현듯 떠올려지지 않는가 하는 것과, 산수화를 포함한 풍속도의 경우에도 정감이 느껴지는 글귀들과 함께 조화롭게 어울려 곁들여 진다면 감상하는 자의 입장에서 그 폭이 더욱 확장되어 한 동안 이를 보는데 그 즐거움이 한층 배가 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이러한 감성적인 부분은 편협적인 시각인지 몰라도 개인적으로는 서양에서의 그것보다는 동양적인 것에서 더욱 뚜렷하게 느껴지리라는 생각이다. 그렇지 않아도 언젠가 동양의 고전적인 시문학과 관련하여 그와 걸 맞는 그림이 조화롭게 어울린 책을 한번 접했으면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책은 그러한 나의 바램을 충족시켜준, 그래서 책의 내용을 감상하는데 있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나름대로 넉넉하게 음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주었던 책이 아닌가 싶다.

글은 글대로 그 내용에 따라 우리가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점이 존재하고 있고 그림은 그림대로 글과는 또 다른 감상의 묘미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동안 우리는 글과 그림이 주는 이러한 장점들에 대해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일 것이며, 그 감상의 키포인트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잡아 갈 것인가를 모르고 쉽게 지나치거나 혹은 그림 속에 나타난 숨은 내용이나 글의 비유적인 표현에 대한 그 배경을 알지 못해 그저 무덤덤하게만 보아 왔던 것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옛 그림들에 담긴 많은 문학작품들을 들추어내어 개개의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독자들이 저자의 친절한 설명에 따라 동적인 것과 정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깊이 있고 의미 있는 고전에 대한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 책이라는 생각이다. 저자에 의하면 우리의 옛 그림들은 문학을 그림으로 그려내는데 있어 다양한 법칙들을 구현하고 있다고 한다. 사실 이런 점은 우리에게 있어 전문가의 시각이 아니라면 결코 쉽게 느낄 수 없는 것이어서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그림 속 문학작품에 대한 진수를 알아가는 좋은 시간을 경험했으면 싶다.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독자에게 그 이해의 폭을 넓혀 주기 위해서 요소별로 체계적으로 엮은 이 책 속에는 실로 많은 유명한 명사들의 작품들이 담겨 있는데 누구나 어떤 특별한 지식 없이도 쉽게 작품 속으로 몰입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다. 여러 작품 중에 개인적으로 반가웠던 것은 학창시절 고문시간에 배웠던 이이의 고산구곡에 관한 내용인데, 외형적으로 중국 주자의 무이구곡을 본떠 지었다고는 하나 독창적인 시경을 새로이 개척했다는 점에서 우리의 회화사에 큰 위상을 지닌 이 작품과 관련한 국내의 다양한 작품을 함께 감상할 수 좋은 기회를 얻은듯하다.

고화나 고시 속에 내포되어 있는 깊은 의미들을 이해하면서 감상한다는 그리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게다가 우리에게 그 동안 이런 내용을 다룬 책이 그리 많지 않았기에 많은 아쉬움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한 이유로 이 책은 우리의 옛 그림에 대한 감상은 물론 이와 관련한 풍부한 고서의 내용을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독자의 입장에서 실로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림이란 시류에 따라 그 화풍이 달라지게 마련이고 시문 역시 담고 있는 내용 역시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 듯하다.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한 그림처럼 보여도 작품 속에 담긴 것은 작가 저마다의 심오한 철학적 사상이 담겨 있을 것이며 짧게 보이는 시문 안에도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숨은 속뜻은 분명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감상뿐 만이 아닌 넓은 의미에서 우리가 옛 성현들의 그림과 시문에 은연 중 담겨진 삶의 지혜와 더불어 커다란 교훈과 가르침까지를 배울 수 있어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기에 충분해 보인다 하겠다. 그렇지 않아도 요즈음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대는 급속히 빠르게 변하고 있고 그런 이유로 점점 옛것에 대한 소중함이 멀어져 가는듯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간접적으로라도 우리가 이러한 책을 통해 그들의 주옥같은 다양한 작품을 함께 공감 할 수 있고 삶을 통찰한 그들의 기운을 가슴 가득 느껴볼 수 있다는 것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