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정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예술의 정신
로버트 헨리 지음, 이종인 옮김 / 즐거운상상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예술이란 무엇일까. 혹은 우연하게 어떤 명화를 보게 되었을 때 우리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 할 것인가.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단편적이라도 이런 생각을 한 번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껏 이를 속 시원하게 해결해 줄만 한 책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던 듯하다. 대개는 조금은 건조하고 딱딱하게 느껴지는 이론들로 무장하여 일반인의 입장에서가 아닌 자신들의 생각과 주장만을 나열하여 예술의 본질적인 내용으로의 접근이 상당히 까다로웠던 것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그렇지 않아도 일반인의 입장에서 전문적인 지식이나 시각 없이 자연스럽게 다가서기가 쉽지 않은 분야 중 하나인 것이 미술의 분야가 아닐까 싶은데, 예술을 바라보는 경직된 우리들의 인식을 조금은 수월하게 만들어주는 이 책은 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와주고 있음은 물론 예술과 직간접으로 맺어져 있는 모든 대상들에 관한 핵심적인 사항들이 세부적으로 잘 설명되어 있어, 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독자들에게는 무척 유익한 교양 도서가 되리라는 생각이다. 전문가가 아닌 이상에야 가이드가 되는 충분하고도 보조적인 내용이 없다면 아무리 유명한 그림이라 해도 그저 맹목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그것이 왜 가치가 있고 의미가 있으며 어떠한 점을 중점적으로 의식하며 보아야 하는지 우리는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그림을 통해 이전에는 잘 몰랐던 아름다움을 느끼고 이에 동조하고 싶다면 그림이 담고 있는 그 구성의 기술적인 내용만을 볼 것이 아닌 예술가가 사물을 보고 그가 포착해낸 순간을 먼저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책은 그러한 실질적이고도 중요한 점을 두루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좋은 지침서가 되는 것은 아닐까 싶다.
이 책에는 예술과 예술가와의 관계 그리고 예술이 왜 우리에게 필요하며 과연 무엇을 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 등 미술에 관한 공허한 이론적인 면을 가급적 제외하고 실질적인 미술의 세계를 조금 가까이 들여다보고자 했으며, 또한 예술에 관여 하려는 많은 이들에게 그림이란 어떻게 표현되어야 하며 어떤 점을 중시할 것인지 대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다양한 조언들을 담아놓은 책이라 할 수 있겠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의 삶은 곧 예술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다시 말해 사람들과 서로 마주하고 있으면서 불현듯 느껴지는 안정감 내지는 행복감이라든지, 어느 장소에서 우연하게 본 풍경을 보고 벅차오르는 아름다움을 느낀다던지 하는 그 순간들 모두가 바로 예술이라는 것이며, 예술가란 바로 그렇게 기억된 순간들을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표현해 내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저자가 주장하고 있는 요지를 되새겨 본다면 아마도 우리는 그 동안 예술에 대한 기본적인 것들이나 그 중요한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알려하기보다는, 그 과정의 부분은 생략 한 채 창작물에 대한 관심에만 집중한 나머지 결국 예술의 본질과는 동떨어진 길을 가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싶다. 예술은 어디에나 존재 하지만 예술가와 작품과 관객이 서로 삼위일체가 될 때야 비로소 그 의미를 가진다고 봐야 할 것이다. 특히 이 책은 예술의 미시적인 관점과 거시적인 측면 모두를 포괄하여 일목요연하게 다루어져 있고, 무엇보다 미술을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와 하나의 의미 있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예술가가 취해야 하는 행동과 마음가짐, 그리고 미술이 우리에게 있어 어떤 형태로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것을 구체적이고도 다각적인 방향에서 논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술세계 속으로 진지하면서도 친근한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하는 좋은 동기를 부여한 책이라 생각된다.
사실 예술이란 생각해보면 우리가 말이나 언어로 차마 표현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내는 어떤 형이상학적 산물은 아닐까 싶은 생각을 해본다. 같은 사물을 보고도 사람들이 저마다 느끼는 감정은 모두 다르다. 그러나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시선으로 보면 그 대상이 무엇이든지 간에 어디엔가는 우리가 몰랐던 아름다움이 분명 존재하지 않을까 싶다. 결국 아무것도 개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어떤 부분을 어떻게 인식하고 바라보느냐가 예술을 이해하는 중요한 관건인 듯해 보인다. 저자가 예술이란 정서적으로 헌신하는 것이라 강조한 것처럼 어떤 인위적인 제약을 두거나 순수함이 결여된 상태에서 미술을 말한다면 아마도 이에 감동을 받거나 아름다움을 느끼는 사람은 극히 적을 것이며 이를 진정한 예술이라고 말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예술가는 자신 스스로가 먼저 사물을 바라보면서 어디엔가 존재하는 아름다움의 핵심을 꿰뚫어 내어 이를 표현해 낼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우리는 편견과 사심 없이 그것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받아들여질 때 바로 예술은 그 의미와 가치를 부여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개인적으로 마치 대학에서 학부 강의를 듣는 것처럼 저자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느껴졌던 이 책이, 바라 건데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예술에 대한 그 이해의 폭을 크게 넓히는 좋은 계기가 되는 책이었으면 싶고, 앞으로 예술을 통해 아름다움과 행복한 순간을 기억하는 우리들의 삶이 점점 많아졌으면 하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