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극과극>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사진의 극과 극 - 카피라이터 최현주의 상상충전 사진 읽기
최현주 지음 / 학고재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예술이라는 분야로 한걸음 조심스럽게 그 안을 들여다 볼 때마다 느끼는 건 내가 정말 미적 가치를 알기위해 진정으로 다가서는지에 대한 내 스스로의 물음에 선뜻 대답하지 못하는 두려움에 소심한 내 자신이 그 한가운데 외롭게 서 있다는 것이다. 전문적인 지식은 그렇다하더라도 적어도 어느 정도 기본적인 것은 갖추어져야 하지 않나 하는 나만의 선입관이랄까 여하튼 그런 비슷한 관념들, 게다가 이런 것에 더해져 다소 어정쩡한 내 자세에 간혹 마주치는 외부적 시각들을 우연하게라도 발견하게 될 때면 괜한 만용을 부리기라도 한 것 같아 간혹은 예술이라는 것에 대해서 에둘러 손사래를 먼저 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사진예술에 관한 작품을 보기 위해 사실 예전에는 가끔 일부러 시간을 내어서라도 감상 비슷한 경험을 하곤 했는데 관심은 가지고 있어도 이런 저런 이유로 발길을 끊은 지가 이젠 기억조차 가물 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책을 통해 이렇게라도 작품 해설의 친절한 안내를 받아 마음 내키는 시간을 골라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아직은 조금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예술 작품이든 간에 그것이 수많은 시간을 관통하고 어려운 과정을 통해 마침내 얻어지는 창조의 산물인데다가 누군가 어떤 영감에 의해 혹은 무언가의 깨달음에서 마치 우연처럼 생겨난 보기 드문 것과 같은 것이어서 나와 같은 초보 감상자에게는 이를 어떻게 보고 받아 들일지에 대한 구체적 방향의 틀을 잡아나가는 것이 그리 쉽지만은 않은 일처럼 여겨진다. 그렇다고 보면 이 책은 사진 속에 나타난 예술의 내용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고 감상 할지에 대한 상세한 길잡이가 되는 책은 아닌가 싶고, 언제 어느 때에라도 사진작품에 자기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하며 즐기고 참고하는데 있어 더 없이 좋은 책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책의 제목에서 보듯 이 책에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여러 가지 많은 작품들이 저자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진짜와 가짜, 전쟁과 평화, 꿈과 현실과 같은 다양한 테마의 내용을 담고 독자들의 눈길을 기다리고 있는데, 이 책이 담아내고자 하는 것은 독자들이 사진을 감상 할 때 그 속의 어떤 면을 어떻게 보느냐에 대한 기본적인 가이드를 마련해주고자 한 것이다. 책속에 나와 있는 사진작품으로만 놓고 본다면 일부의 것은 초보 독자들이 보아도 금방 느낌이 오는 것도 있지만 대개는 이 작품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그 중심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이는데, 다행이도 저자는 마치 전시장의 큐레이터라도 되는 듯 외부적으로 보이는 사진의 여러 특징들과 사진이 갖는 내부적인 부분까지도 일일이 짚어 내어 설명하는데 주저 하지 않고 있어 작품사진을 보고 분석하고 싶어 하는 독자들의 상상력과 기본적인 틀을 마련해주는데 매우 유용한 책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게다가 이 책 안에는 일방적이고도 단순한 사진 작품의 설명에서 끝나기보다는 각 파트마다 작품에 연결 할 수 있는 에세이들을 미리 선보이고 있어, 어느 누구라도 작품을 감상함에 그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고, 작품을 보면서 우리가 흔히 놓치기 쉬운 중요한 요소들을 조목조목 다듬어내어 감상의 재미를 한층 배가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하겠다. 아마도 이러한 점이 이 책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장점은 아닐까 싶다. 또한 작품의 분류에서만 보더라도 이 책은 인물 사진에서부터 자연의 풍경, 설치예술, 풍자 그리고 퍼포먼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내용을 담아, 그 속에서 작가 특유의 예리한 미적 감각이라든지 작품이 나타내는 독특한 표현들을 감상 할 수 있다는 점에서만 생각해도 독자에게는 그 나름대로 큰 의미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저자가 서두에서 말했듯이 극과 극은 정 반대의 결과로 서로 상충 할 수밖에 없어 보이지만 그렇다고 따로 떼어내어 생각 할 수도 없는 것이 바로 극과 극이 갖는 미묘한 관계이기도 하여 그러한 관점에서 이 책의 내용을 접근 한다면 그 동안 우리가 쉽게 이해 할 수 없었던 사진예술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인식의 범위가 상당히 넓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모든 사물은 정지된 부분이 없는 동작의 연속처럼 보이는 것 같아도 생각해보면 모든 것은 일련의 정지된 순간의 무한 집합의 형태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고 볼 때 아마도 사진예술은 그렇게 수없는 순간의 상황들 속에 의미와 가치를 가지는 단 하나의 부분을 포착해내는 고도의 창작과정 일 것이다. 그렇기에 작가가 세상에 내놓는 작품 하나하나의 내용에는 미적가치가 있는 부분을 포함해 많은 함축적인 것들이 분명 포함 되어 있을 것이며 작가는 그 작품을 통해 관객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한편 소통의 도구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매개체가 되기도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사진 작품 하나를 감상 하는데 있어 이 책에서와 같이 그러한 부분을 사전에 어느 정도 인지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조금만 기울인다면 이전에는 알 수 없었던, 작품을 통해 바로 작가가 느꼈던 예술적 희열의 정수를 본격적으로 함께 맛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 동안 사진 속에 나타난 예술 세계를 이해하기 힘들었거나 그 시각을 확장 시키는데 있어 한계를 느꼈던 독자가 있었다면 저자의 설명에 따라 산책하듯 이 책을 한번 가까이해 본다면 앞으로 사진을 보는 자신의 안목에 분명 놀라운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