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달을 지켜 줘
정진호 지음 / 길벗어린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진호 작가의 그림책 몇 권을 보고 난 후, 그리고 작가의 인터뷰를 보았다. 작가가 그림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좀 더 명확해지는 내용이었다. 대단하다는 생각부터 했다.

작가의 그림책은 건축 전공답게 건축에 관한 것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한다. 무심히 지나쳐버리는 건축의 양면에 대해서도, 보는 방향, 아주 사소한 것에도 관심을 두는. 그래서 그림책을 읽는 내내 그것들이 매력으로 다가왔다.

이번에 정진호 작가가 낸 책은 그래픽노블 그림체의 그림책이다. 생소하다. 얼핏 보면 만화 같은 분위기다. 정진호 작가의 그림이 좀 더 풍성해졌다는 의미다.

정진호 작가가 내 놓은 책이면 믿고 보려 한다.

이야기는 토끼가 달에 도착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아마도 달에 절구를 찧는 이야기를 모티브로 하지 않았나 싶다. 토끼가 달에 도착한 후 이곳저곳을 살피지만 사실 여기는 토끼가 알고 있는 달이 아니라 지구다. 매일매일 험난한 일이 생기는 이 지구, 이곳에서 벗어난 토끼가 도착한 곳은 진짜 달이다. 하지만 달에서 바라본 지구는 너무 아름답다. 그러나 그곳은 이미 너무도 시끄러운 곳이 되어버렸다. 새로는 지구를 지키기 위해 다시 지구로 돌아간다.

달토끼.

재미있는 이름이다. 집으로 무사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우주선을 선물해준 달토끼들. 새로는 드디어 고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새로가 지켜내고자 하였던 것은 평화이겠다. 불같은 싸움들, 서로를 향한 오해.

생각만 해도 무서운 말들.

그림책이지만 제법 묵직한 주제를 다루고 있어 정진호 작가의 또 하나의 매력을 찾게 되는 이야기다.

  -출판사 책제공, 개인적인 서평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은 누가 만들지? - 늑대가 보는 책 춘희네 호기심 학교 1
장 르로아 지음, 실방 디에즈 그림, 브노아 디파스 옮김 / 춘희네책방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자책의 출간이 활발하다고 한다. 자세히는 모른다. 아직 전자책을 접해보지 못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책의 출발은 어디서부터일까이다.

오래전부터 우리의 손에 익은 종이책, 책의 소중함, 책을 넘기는 느낌, 읽고 나서 줄을 쳐 놓은 부분을 다시 읽는 느낌.... 그게 종이책의 매력들이다. 개인적으로 종이책 정말 좋아한다.

우리는 책으로 통해서 배우는 것도 많고, 느끼고, 소통하는 것도 많다. 이유는 너무 많겠지만 책은 정말 우리에게 소중한 어떤 것이다.

 

이런 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가끔 궁금하기는 하다. 보통 책을 읽게 되면 우리는 작가, 출판사, 독자의 구조만 알고 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 사이에 누군가의 노력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책이 만들어지는 전 과정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면 좋겠다.

이 그림책을 그 과정을 아주 단순하고도 재미있게 보여주는 내용이다.

 

책을 다 읽은 늑대는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해진다. 그래서 서점으로 간다. 서점 주인은 자신은 배본사에서 받아서 파는 일이라며 그곳을 안내한다. 늑대는 배본사에 책을 만들었냐고 묻자 출판사에게 이야기를 받아서 만들어진다고 말해준다. 늑대와 더불어 모두는 출판사를 찾아가고, 글 작가, 그림 작가를 만나게 된다.

이 이야기의 특징은 이야기가 만들어져서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차례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야기를 거꾸로 보여주어서 더 흥미롭다.

책읽기를 좋아하는 늑대의 호기심으로부터 출발하는 이야기는 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과정과 역할을 아주 단순하고도 재미있게 설명해준다.

 

- 출판사 책제공, 개인적인 의견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년 빈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에 탁상달력 2023 북엔 달력
북엔 편집부 지음 / 북엔(BOOK&_) / 2022년 9월
평점 :
절판


 

 

 

2023년 달력을 만났다. 그것도 책상 앞에 턱-하고 놓을 수 있는 달력이다.

이제 내년을 준비해야 하는 가을, 겨울. 이왕이면 좀 더 괜찮은 달력을 책상에다 두고 싶은 마음이었다. 고민도 없이 선택한 작가의 그림, 그리고 달력, 탁상달력이다.

 

고흐다.

빈센트 반 고흐는 우리에게 이미 이름난 화가다. 그러나 고흐의 작품을 아는 것은 몇 점 없다.

올리브 나무 숲’, ‘꽃 피는 아몬드,’ ‘나무화병의 해바라기 열두 송이등이다.

매달 한 장씩 넘기는 재미도 있겠다.

 

1월은 아는 그림이다. 반갑다. 올리브나무. 이렇게 한 달 한 달 달력을 넘기면서 만나는 그림이 반갑다. 미리 생각해 보건데, 달력 한 장, 다음 달을 넘기면 그 전 달력 그림은 액자로 남겨볼 생각이다. 전시회나 어디 가서 봐 두어야 할 그림인데, 그냥 두기는 아깝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액자 하나를 잘 준비해두고, 그곳에 두고 볼 일이다. 매달 지나쳤던 그림이 다시 액자탁상달력 소개글에서 이 달력 인쇄를 친환경적인 콩기름 인쇄를 했다는 글을 읽었다. 미래를 위한, 미래를 보다 염려하는 마음이 좋다.

 

새해가 오기 전, 이 달력을 책상위에 놓을 생각이다. 열두 장의 그림이 큰 위로를 주겠지하는 마음도 가져본다. 아니 열두 장이 넘는다. 표지 그림까지. 그리고 그 전 해 12월 달력까지 인심 좋게 넣어두었다. 이렇게 넉넉하게 챙겨둔 달력이다. 책상에 있으면 이렇게도 보면 좋겠고, 저렇게 두어도 좋겠다.

열두 달, 365, 하루하루, 매 순간이 전부 의미 있게 지나기를 바란다.

 

- 출판사 제공, 개인적 의견 서평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같이 삽시다 쫌! 인생그림책 17
하수정 지음 / 길벗어린이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에는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인 새라고 했다. 그래서 공원이나 학교 운동자에서 옥수수며 곡물을 주기도 했었다. 그러나 어느 날부터 이 비둘기는 사람에게, 환경에게 해를 끼치는 새가 되었다. 비둘기는 이제 불편한 존재가 되어버렸다.

 

그림책은 비둘기를 통해 참 많은 것을 전달한다.

길에서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는 할아버지가 있다. 사람들은 할아버지에게 비둘기에게 밥 주면 안되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비둘기가 우리에게 얼마나 불편함을 주는지 이야기한다. 하지만 할아버지는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는 일을 그만두지 않는다. 이유는 자신처럼 고향이 아닌 도시에서 살아가는 비둘기들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배가 고프니 먹이를 주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사람들은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지 말기를 소리 높여 말한다. 어느 날 할아버지는 요양원에 가게 된다. 그러나 이 비둘기들은 할아버지가 준 먹이를 먹고 인간의 모습으로 태어난다. 비둘기가 없어졌으니 이제 평화가 찾아올 듯 했다. 하지만 이번엔 야생고양이다. 이야기는 이제 새롭게 시작한다. 어떻게 이런 갈등을 풀어갈 수 있을까?

작가는 묵직한 질문을 독자에게 던져놓는다.

 

이 이야기는 무조건 이건 이렇다. 저건 그렇고의 단답의 이야기를 말하지 않는다. 사람들에게 여러 피해를 주는 비둘기를 통해 그 피해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먹이를 주는 사람들의 입장을 함께 보여준다. 한쪽 이야기를 대변하기 보다는 양쪽의 이야기를 골고루 보여주고자 했다. 하지만 어렵거나 무겁게 다루지 않고 재미있는 이야기, 재미있는 인물들, 행동을 등장시킨다.

좀 더 넓은 마음으로 서로의 입장을 생각해보게 하는 그림책이다.

 

-출판사 책 제공, 개인적 의견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만을 위한 선물 피카 그림책 3
프란체스카 피로네 지음, 오현지 옮김 / FIKAJUNIOR(피카주니어)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은 사실 그림이 매력적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대부분의 독자가 어린이라는 점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그림이 좀 편안하면 먼저 읽게 되는 이유가 있다.

이 그림책은 그런 점에서 꼭 보고 싶었다.

 

책은 피카그림책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먼저 두 권은 읽어본 적이 없지만 여러 사람이 재밌다는 글을 읽고, 읽게 되었다.

돼지가 주인공이다. 그것도 아주 귀여운! 여기서부터 그림을 보는 재미가 생겨버렸다.

눈이 펑펑 내리는 추운 날씨, 꼬마돼지는 다락방에서 여러 가지 색의 털실 뭉치를 발견한다. 그 순간 이 고운 색의 털실을 친구들에게 나눠주기도 한다. 그것도 혼자 사는 친구들에게.

꼬마 돼지는 초록색, 빨간색, 분홍색, 파란색, 주황색 등을 하나씩 나눠주고 나니 자신의 스웨터를 짤 털뭉치 조차 남겨놓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걱정도 잠깐.

친구들은 자신들이 받은 털실 뭉치를 조금씩 엮어 세상에 단 하나뿐인 꼬마 돼지의 스웨터를 만들어 준다.

 

이 그림책은 나눔과 배려, 그 가치를 설명해주는 이야기다. 선물을 주는 사람, 받는 사람도 기쁜 일이다. 그것도 꼬옥 필요한 것이라고 여겨 선물을 한다면.

꼬마 돼지는 자신의 것도 없어지는 줄 모르고 다른 친구들을 위해 털실을 선물한다. 하지만 친구들은 꼬마돼지의 상황을 얼른 알아차린다. 그리고 조금씩 조금씩 털실을 모아 예쁜 털스웨터를 선물한다.

 

간결한 색, 담백한 색, 짧은 글이 오히려 이야기의 집중을 높이게 하는 그림책이다.

 

-출판사 책제공, 개인적 의견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