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분 편의점 - 1호 숲속마을점 수상한 자석 마술 쇼
김희남 지음, 이유진 그림 / 사파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과학 분야는 어렵다고 여겨 잘 읽지 않는 분야다. 하지만 좀 재미있게 과학을 풀어놓거나 이해하게 해 놓으면 읽게 된다. 물론 아이에게도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런 관점에서 읽게 된 동화다.

일단 재밌다. 그림도 아이들이 좋아할 만큼, 아니 어른들도

이 책이 얼마나 재미있을지 기대감을 가지게 하는 그림이다. 이야기를 더욱 재미있게 이끌어주는 그림, 주인공 등장인물들, 그 표정을 보는 것만으로도 재미있다. 이야기는 물론이다.

 

특이한 이동식 편의점이 있다. 이 편의점은 하루에 딱 24분만 문을 연다. 어떻게 그럴 수 있지 하는 궁금함으로 시작된다. 얼핏 제목만 읽으면 24시간 편의점으로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아니다. 24분만 문을 여는 편의점 이야기다. 이유는 모든 걸 낭비할 필요가 없다는 주인 의 영업 방침(?)이다. (이 주인이 누구냐면 동화를 읽다 보면 그 비밀을 알게 된다)

 

마을 사람들은 내내 불이 꺼진 이동차를 보며 의아해한다. 하지만 이 사장님이 하는 편의점 물건들을 잘 이해하면 또 고개가 끄덕여진다.

24분 편의점이니 당연히 물건이 많지 않다. 하지만 사장님은 특별했다.

하지만 손님이 원하는 것이 없을 땐 편의점에 있는 물건을 활용해 과학적으로 해결해 준다. 사장이 편의점 알바를 뽑는다. 하지만 그 과정도 재미있다. 수상한 마술쇼도 있다.사장은 손님이 무엇인가를 찾으면 없는 것에서 답을 찾게 한다. 나침판이 없으면 막대자석으로., 머리핀을 통해, 길을 잃은 손님이 있다. 이에게는 머리핀과 막대자석, 나뭇잎으로 나침반을 만들어 길을 찾도록 도와준다. 동전을 지폐로 바꾸러 온 손님에게는 자석으로 가짜 동전과 진짜 동전을 가리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것뿐만이 아니다. 이렇게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통해 독자는 과학원리를 재미있게 이해하게 된다.

 

책을 읽다보면 이야기를 읽는 것인데 절로 과학원리나 내용을 알게 된다, 그것도 실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과학 정보이다.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는 이야기와 더불어 과학 정보를 알게 되고, 자신만의 사고를 확장시키고 어떤 문제나 어려움이 생겼을 때 스스로 해결하는 법을 찾는 것도 알게 한다.

 

출판사 책제공, 개인적인 의견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4분 편의점 - 1호 숲속마을점 수상한 자석 마술 쇼
김희남 지음, 이유진 그림 / 사파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과학 분야는 어렵다고 여겨 잘 읽지 않는 분야다. 하지만 좀 재미있게 과학을 풀어놓거나 이해하게 해 놓으면 읽게 된다. 물론 아이에게도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런 관점에서 읽게 된 동화다.

일단 재밌다. 그림도 아이들이 좋아할 만큼, 아니 어른들도

이 책이 얼마나 재미있을지 기대감을 가지게 하는 그림이다. 이야기를 더욱 재미있게 이끌어주는 그림, 주인공 등장인물들, 그 표정을 보는 것만으로도 재미있다. 이야기는 물론이다.

 

특이한 이동식 편의점이 있다. 이 편의점은 하루에 딱 24분만 문을 연다. 어떻게 그럴 수 있지 하는 궁금함으로 시작된다. 얼핏 제목만 읽으면 24시간 편의점으로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아니다. 24분만 문을 여는 편의점 이야기다. 이유는 모든 걸 낭비할 필요가 없다는 주인 의 영업 방침(?)이다. (이 주인이 누구냐면 동화를 읽다 보면 그 비밀을 알게 된다)

 

마을 사람들은 내내 불이 꺼진 이동차를 보며 의아해한다. 하지만 이 사장님이 하는 편의점 물건들을 잘 이해하면 또 고개가 끄덕여진다.

24분 편의점이니 당연히 물건이 많지 않다. 하지만 사장님은 특별했다.

하지만 손님이 원하는 것이 없을 땐 편의점에 있는 물건을 활용해 과학적으로 해결해 준다. 사장이 편의점 알바를 뽑는다. 하지만 그 과정도 재미있다. 수상한 마술쇼도 있다.사장은 손님이 무엇인가를 찾으면 없는 것에서 답을 찾게 한다. 나침판이 없으면 막대자석으로., 머리핀을 통해, 길을 잃은 손님이 있다. 이에게는 머리핀과 막대자석, 나뭇잎으로 나침반을 만들어 길을 찾도록 도와준다. 동전을 지폐로 바꾸러 온 손님에게는 자석으로 가짜 동전과 진짜 동전을 가리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것뿐만이 아니다. 이렇게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통해 독자는 과학원리를 재미있게 이해하게 된다.

 

책을 읽다보면 이야기를 읽는 것인데 절로 과학원리나 내용을 알게 된다, 그것도 실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과학 정보이다.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는 이야기와 더불어 과학 정보를 알게 되고, 자신만의 사고를 확장시키고 어떤 문제나 어려움이 생겼을 때 스스로 해결하는 법을 찾는 것도 알게 한다.

 

출판사 책제공, 개인적인 의견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월든 (일러스트 에디션)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지음, 정윤희 옮김 / 오렌지연필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서평은 출판사 이벤트에 선정되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이 책을 본 첫 느낌은 ,좋다이다.

월든은 고전이다. 오랫동안 독자에게 사랑을 받아온 이유는 분명하다. 바쁘고 힘든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자연의 삶을 통해 이야기하는 철학적 생각을 해준다는 점이다.

일단 이 책은 기존에 나왔던 월든과는 다르다. 그림이 있다. 글을 좀 더 잘 이해하거나 보듬을 수 있는 그림들이다. 그러니 이 책이 조금 두껍다고 생각되더라도 읽기에 부담이 적다.

 

책을 읽기 전, 작가에 대한 이야기부터 읽어본다. 작가는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떤 이유로 이 책을 쓰게 되었는지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연을 좋아한다. 자연으로부터 위로를 받고, 쉬는 시간을 가지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자연에 관한 이야기는 읽기에도 편안하다. 그 글 속에 삶의 철학이 담겨있다면 더욱 도움이 되는 책읽는 시간이 되겠다. 이 책은 그런 관점에서 많은 도움을 주는 글을 읽어보게 한다. 책을 읽는 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내용의 특징이다.

자연주의적 삶을 바라보게 한다.

문명이 발달하고 모든 것이 풍족해지는 삶을 살지만 우리는 왠지 모를 허전함을 가지곤 한다. 왜일까? 소로는 그것에 대한 의문증을 가지고 자연주의적 삶을 선택하였지 않나 싶다. 직접 무엇인가를 만들어내고 갖추고, 불편함을 그대로, 모자라면 그대로의 삶을 살아내는 것도 진정한 원하는 삶이라는 것을 얻게 한다.

자연속에 사는 삶을 꿈꾸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편안해지기도 한다. 만약 이러저러한 조건으로 자연에서의 삶을 지내지 못한다면 이렇게 상상만으로도, 작가의 이야기만으로도 편안해진다. 다만 작가가 말하는 것은 무조건 자연의 삶이 아니다. 단순하고, 간단하게라는 단어도 절로 떠올려진다.

자연을 통해, 자연속에서의 생활을 통해, 아니면 상상으로라도 삶의 통찰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는 바라는 작가의 마음이 잘 담긴 책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독자를 간직하는 고전인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짝반짝 봉선아 한림 더같이그림책
반히 지음 / 한림출판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표지부터 매력적이다. 표지에서 보여주는 그림이 이야기가 얼마나 정감이 있을지 충분히 짐작하게 한다.

그림책 작가의 그림을 칭찬부터 하고 책을 펼쳐본다.

정우 할머니, 송이 엄마로 살아 온 할머니 봉선아 씨의 하루를 보여주는 이야기다. 봉선아 씨를 쫓아가며 보는 하루의 일상은 얼마나 소중한지, 그리고 엄마의 사랑을 확인할 수 있는 그림책이다.

선아 할머니의 하루는 손주 정우의 사진을 보는 것으로 시작된다. 버스를 타고 딸 송이네 집으로 가는 길, 손주와 딸을 만나는 기쁨이 가득하다.

출근 준비로 바쁜 엄마에게 정우는 엄마에게 회사에 가지 말고 같이 놀자고 한다. 미안한 엄마는 일찍 퇴근해서 오겠다는 약속을 한다. 늦게 오는 아빠를 기다려야 하지만 정우는 괜찮다. 매일 정우를 만나러 오는 봉선아 할머니가 있기 때문이다.

하루종일 할머니와 함께 하는 정우, 할머니의 사랑을 충분히 느끼게 한다.

 

이 그림책은 그냥 따뜻하다.

딸의 아이, 자신의 딸을 바라보는 봉선아 씨의 표정이 너무 푸근하다. 작가는 이 모습을 어떻게 포착했을까? 할머니의 현재의 삶을 바라보는 것만이 아니다. 할머니가 살아온 모든 삶과 이야기를 그림책 속에 담아낸다는 점이 특별하다.

봉선아 씨가 바라는 행복의 삶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자신의 가족과 함께 하는 하루하루다. 비록 힘든 시간이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 또한 기꺼이 함께라는 기쁨으로 끌어안는다.

봉선아 씨의 하루는 아름답다.

 

봉선아 씨,, 할머니는 자신의 젊은 시절을 떠올리며 손주를 돌본다. 물론 독자가 보는 시선이다.

선아 할머니, 자신의 젊은 시절을 떠올리며 현재를 이야기한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이야기인데 전혀 어렵지않고 혼란스럽지도 않다.

젊은 선아 할머니가 살아온, 힘겹지만 잘 견디어온 그 때의 이야기가 오히려 따뜻하다. 그 시간이 있었기에 지금 딸을 위해, 그 딸의 아이를 위해 하루를 보낸다. 그래서 즐거운 하루다.

 

얼핏, 선아할머니의 유년 이야기처럼도 읽혀진다.

한 사람의 삶을 전기처럼 읽는 느낌도 있다.

하지만 그림책 전체 흐르는 사랑이라는 마음은 그냥 독자들은 미소지으며 잘 느껴볼 수 있게 한다.

 

-출판사 책제공, 개인적인 의견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에게 별을 켜줄게 나에게 장미꽃을 줘
김이율 지음 / 미래문화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어린왕자빨간머리 앤에서 뽑은 명문장을 만나는 책이다.

어릴 때부터 유독 빨간머리 앤을 좋아했다. 그래서 문장도 노트에다 적어놓곤 했다. 또한 어린왕자를 읽어본 독자라면 알겠지만 그 속에 좋은 문장들이 많다. 이렇게 두 권의 이야기를 연결하였으니 독자에게는 좋은 문장을 한꺼번에 읽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일단 빨간머리 앤의 이야기를 접해보자.

앤의 말은 모두 긍정적이다. 자신의 슬픔이나 힘듦에 그냥 무심해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인정하고 더 나은 삶을 꿈꾼다. 이 마음은 다른 사람을 바라보는데 중요한 공감의 포인트가 된다. 물론 자신을 더 단단하고, 세상을 더 긍정적으로 보게 한다. 그러면서 자신이 가진 꿈을 이루기 위해 열정이나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삶에 적극적이며 물러서지 않은 앤이다. 그러니 이 앤을 만나는 이야기는 오랫동안 독자를 품을 수 밖에 없다. 그런 글들을 이 책에는 꼼꼼하게 기록하여 다시 만나게 한다.

 

어린왕자의 이야기는 어릴 때 읽었더라도 지긂 다시 읽으면 그 문장이 새롭게 다가오는 매력이 있다. 아마도 어릴 때에는 이해 못할 문장이었다면 지금은 조금 더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경험하였기 때문이겠다.

어린왕자를 읽다 보면 꽤 철학적인 문장을 많이 만나게 된다. 순수함도 있지만 현명함, 통찰의 기회를 제공받는 것이다.

두 인물을 통해 세상을 살아가는 자신만의 지혜를 갖기를 바라는 마음이 읽혀진다.

 

두 인물은 너무도 익숙하다. 하지만 두 인물이 만나는 책은 처음이다. 그래서 조금 흥미롭게 이 책을 읽게 된다. 더군다나 책을 보다보면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몫도 있다. 독자가 이 책을 읽으면서 자신이 느낀 점이나 생각, 기록 등을 쓸 수 있는 페이지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책 한권을 읽었지만 필사 노트를 쓴 것 같은, 어린왕자빨간머리 앤을 다시 읽은 듯한 느낌도 가진다. 괜찮은 접근법인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