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콘서트 1 - 노자의 <도덕경>에서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위대한 사상가 10인과 함께하는 철학의 대향연 철학 콘서트 1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사상가들에 대한 이야기여서 재미없고 딱딱할거라 생각했었다.

그나마 이 책을 고른건 무작위로 골라서 본 몇페이지에서 읽어본

황광우라는 사람의 글체가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세련되고 가벼운 재치 같은건 없지만

뭔가 흙(?) 냄새 같은 느낌이 들어서.

튀지 않으면서도 지루하지 않고 고리타분하지 않아서 좋았다.

 

읽으면서... 참 이 저자가 여기 소개한 10인의 사상가에 대해

어느 정도 간파했는지 나로서는 알길이 없지만

분명 나같은 초보들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슷한 점과 다른점 같은걸 자신의 의견을 밝혀 이야기 한게

멋졌던거 같다.

책을 쓸려면 이 정도의 지식과 이 정도의 자신의 의견은 밝히는 것이

떳떳하지 않나 싶다.

 

요즘은 책 내기가 쉬워져서 그런지 책이 많이 나온다.

그 중에는 분명 유행에 편승해서 한두달 만에 뚝딱 나오는 책들도 있을 거다.

책도 말과 같아서 한번 밖으로 내면 주워담을 수 없다는걸 명심하고

신중을 기해서 책을 내야 할텐데.

오히려 말보다 책은 오래 남고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지니까 더욱 조심해야 할거다.

10년 후까지도 부끄럽지 않을 자신의 주관과 의지대로 살 자신이 있어야 떳떳하게 책을 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이런 생각이 든 것도 아마 이 책을 읽었기 때문인거 같다.

내 생각에 영향을 줬다는거지.

 

10명의 사상가 중 퇴계 이황 부분이 가장 어려웠고

토마스 모어랑 소크라테스, 애덤 스미스 부분이 재밌었다.


 
새 시대의 경제학은 윤리학의 안내를 받아야 한다.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가 윤리학을 쓰고 나서 경제학을 집필한 것처럼 이 시대는 경제학을 바르게 이끌어줄 윤리학의 정립을 요청하고 있다. (애덤 스미스 편)
 
세상에 다시 없이 착한 것은 물이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도우면서 다투지 않는다. 사람들이 머물기 싫어하는 낮은 곳에 머문다.
(노자 편)

부족한 것을 걱정하지 말고 고르지 못한 것을 걱정하라 (공자편)

자연과학은 20대에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인문학은 인생의 깊이만큼만 이해된다. 21세기의 현대인이 여전히 플라톤과 공자로부터 인문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프롤로그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