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의 생활사
차윤정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내용은 숲의 다큐
형식은 자연주의
모두가 거짓됨
거미와 생명을 논하는 사람이 어찌 강을 병신 만들고 국토를 만신창이로 개발새발 헤쳐 먹었는지
불일치
위험한 분열증
악의 평범성
배운놈이 더 위험함

발문 넣어준 정재승 교수는 어떨런지


아무튼 중고책으로 내버려야 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절한 균형 아시아 문학선 3
로힌턴 미스트리 지음, 손석주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몰입.
몰입.
그 불행들
작가와 읽는 나 그리고 펼쳐지는 과거였던 그곳
통증이 몇 차례
지나가고 파도처럼 오고

그럼에도
아무튼
근데 지나친 평면구성
난쏘공 다시 집어봐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검은 고독 흰 고독
라인홀트 메스너 지음, 김영도 옮김 / 필로소픽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무용담이 아닌 리얼리티티뷔같은 철학.

숙연하고 다소곳함의 시간이 펼쳐진다 내가 없다면 문자는 초침과 같아서 쏟아져 흘러갈 뿐이다. 그의 목소리는 우리의 절박함을 대변한다. 그것이 손 놓고 있기가 힘들게 침묵의 초침으로.
들려온다. 각자 다른 위도에 있을 뿐이지만 절박함은 동일하다
오늘 같은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월간 산 2016.11
월간 산 편집부 엮음 / 조선일보사(월간지)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이원규 시인의 산방한담이라는 연재가 50회째인 것같다. 글이 참 넓고 깊기도 한데 사진도 보통 애 쓴 모양새가 아니다.
참 멋 낸 잡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령의 역사 - 중세 사회의 산 자와 죽은 자
장클로드 슈미트 지음, 주나미 옮김 / 오롯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세 아우라의 결정판
긴 중세해석을 애두르지 않고 직시할 수 있는 유일한 책!
단점은 존재치 않는 유령으로 인해 현실을 더 잘 그려낸다는 점이 더 오글거린다는 그것.


p 266
요하킴주의자 Joachimites이탈리아의 신비주의자이자 묵시주의자인 시토회 수도원장 피오레의 요하킴 1132ㅡ1202의 3시대 역사 전개를 추종한 자들.
이들에 따르면 인류 역사는 구약의 율법으로 살았던
성부의 시대
신약의 은총 아래 살았던
성자의 시대
구약과 신약에서 비롯된영적 지성의 < 자유> 속에서 살게되는
성령의 시대
로 나뉜다. 특히 1290년부터 시작되는 마지막 시대는 가시적인 가시적인 교회나 성사가 필요하지 않은 영적인 교회의 시대이므로 수도원에서의 영적 생활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보았다.


중세를 지탱하는 경제 구조로서의 교회, 사제. 그리고 재생산의 톱니바퀴로서 재창조되는 귀신. 아니 유령의 존재는 총체적 측면 즉 물질적. 영적 측면이 나뉠 수 없게 단단히 결합되어있는 이익을 얻기 위해 이권자들 전체는 직업과 실명을 가리고 공인된 강령술사가 되어 유령의 계시를 앞장서서 찾아 나서고 법제화한다.

지금 우리는 사제들과 싸우고 있는 것이다.
눈 앞의 법치란 실존과 보이지않는 화대생산된 유령과 충실한 개같은 대리 권력과 말이다.
아 이 밑도 끝도 없이 요원한 탈근대와 탈중세와 탈샤머니즘으로 부터 간신히 살아나기 위해이게 대체 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