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령의 역사 - 중세 사회의 산 자와 죽은 자
장클로드 슈미트 지음, 주나미 옮김 / 오롯 / 2015년 9월
평점 :
중세 아우라의 결정판
긴 중세해석을 애두르지 않고 직시할 수 있는 유일한 책!
단점은 존재치 않는 유령으로 인해 현실을 더 잘 그려낸다는 점이 더 오글거린다는 그것.
p 266
요하킴주의자 Joachimites이탈리아의 신비주의자이자 묵시주의자인 시토회 수도원장 피오레의 요하킴 1132ㅡ1202의 3시대 역사 전개를 추종한 자들.
이들에 따르면 인류 역사는 구약의 율법으로 살았던
성부의 시대
신약의 은총 아래 살았던
성자의 시대
구약과 신약에서 비롯된영적 지성의 < 자유> 속에서 살게되는
성령의 시대
로 나뉜다. 특히 1290년부터 시작되는 마지막 시대는 가시적인 가시적인 교회나 성사가 필요하지 않은 영적인 교회의 시대이므로 수도원에서의 영적 생활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보았다.
중세를 지탱하는 경제 구조로서의 교회, 사제. 그리고 재생산의 톱니바퀴로서 재창조되는 귀신. 아니 유령의 존재는 총체적 측면 즉 물질적. 영적 측면이 나뉠 수 없게 단단히 결합되어있는 이익을 얻기 위해 이권자들 전체는 직업과 실명을 가리고 공인된 강령술사가 되어 유령의 계시를 앞장서서 찾아 나서고 법제화한다.
지금 우리는 사제들과 싸우고 있는 것이다.
눈 앞의 법치란 실존과 보이지않는 화대생산된 유령과 충실한 개같은 대리 권력과 말이다.
아 이 밑도 끝도 없이 요원한 탈근대와 탈중세와 탈샤머니즘으로 부터 간신히 살아나기 위해이게 대체 뭔가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103/pimg_732088143151631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103/pimg_732088143151631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