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은 제가 지나온 길을 돌아보지 않는다




세렝게티 초원에서나 한라산 기슭에서나




서로의 뒤를 봐주느라 그 일생이 다 간다.  (13)








그리움의 방식






꿀벌의 침은 내장과 연결되어 있다



목숨을 거는 일이라 함부로 쓰지 않는다



당신을 지켜야 할 때

딱 한 번 쓸 뿐이다.  (50)






/ 김영순 시집 <밥 먹고 더 울기로 했다>에서














살다 보면 '밥 먹고 더 울기로 했다.'라는 일이, 어느 정도 살아왔던 사람들에게는 이해가 되는 말이라 생각 든다. 가령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었을 때에도 우리는 눈물을 삼키며, 어떡하든 한 끼를 먹는 일이 언덕 하나를 넘는 일이 돼 듯, 그게 인생이라 여겨지는 탓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말을 꺼내지 않는 찰나에도/ 두부는 아주 평화롭게 구워진다"라는 어느 시집의 구절과, 그 '순한' 두부를 시 제목으로 지은 詩가 너무 멋지고 광활하게 씌어 나의 빈곤한 문해력에 난감하다가, 마지막 연의 "모든 것이 끝나도/ 어떤 마음은 계속 깊어진다.(100쪽)"'라는 뭔가 알 듯 말 듯 해, 서둘러 다행히 냉장고에 잠자고 있던 두부로 '두부김치'를 만들어 소주나 마시고, 또 밤새 밥벌이를 해야겠다.

두부는 어느 계절에나, 어느 시간에나 구울 수 있다는 그런 생각이 드는 밤. 결코 어느 시집을 부정하는 마음은 아니다. 세상은 시인이든 아니든, 누구나 각자의 소회이고 느낌인, 백인백색의 세계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해인의 햇빛 일기
이해인 지음 / 열림원 / 2023년 10월
평점 :
일시품절


˝2014년 봄/ 침몰하는 배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이들 중/ 2021년 봄 기도에 감사하다는 뜻으로/ 수녀원에 들고 온 조그만 행운목이/ 날마다 싱싱하게/ 말을 걸어옵니다.˝ ˝의도되지 않았던 상처와 고통의 상형문자들˝을 수도자의 정체성과 더불어, 인간 본연의 보편된 ‘인생학교‘의 선배로서 솔직하고 진솔하게 전해주어 위로가 되어 준 시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켜야 할 세계 - 제13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문경민 지음 / 다산책방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한 개인적인 삶과 자신의 수업이 자랑스러웠던, 죽음까지 담담히 자신의 길을 디뎌온 국어 교사 정윤옥의 60여 년 삶의 모든 절차를 매듭지었던 이야기. 자신의 보루가 부서졌던 사람들에 대한, ‘돌봄‘과 ‘공존‘으로 ‘있는 힘을 다해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내는 울음‘처럼 서러운 기분과 함께 안심이 차올랐던 소설. ˝내가 지켜야 할 세계란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아이는 자라서 이렇게 됩니다 - 아깽이에서 성묘까지 40마리 고양이의 폭풍성장기
이용한 지음 / 이야기장수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깽이 길고양이가 무사히 뚠뚠이 성묘로 자란 40냥들의 빛나는 사진들과, 그간 이용한 시인의 책 제목이 되었던 고양이들의 묘생 에피소드를 17년 동안 곡진하게 기록한, 뭉클하고 가슴 찡하고 아름다운 사진 에세이. 열여섯 살 ‘랭보‘가 더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기를 기원한다. ˝내가 만난 고양이들은 자연 속에서 가장 빛났고, 길 위에서 가장 아름다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이 도착하기 전에도, 이 비상하게 아름다운 사진집을 보고 나서도, 쉽게 주체할 수 없는 마음의 요동과 기쁨과 슬픔을 도무지 100자평 만으로는 전할 수 없어서 페이퍼의 한 쪽을 빌리고 있다. 


20대 초반, 한대수의 <멀고 먼 길>을 옆구리에 끼고 명륜동에서 길음동을 거쳐 수유리 집까지 하염없이 걸어온 어느 날이 있었다. 그때 집에는 놀러 온 이모가 가져온 길쭉한 서양배들이 식탁에 정물화처럼 놓여 있었고. 내내 기억나는 인생의 풍경이다. 그리고 한대수의 전작주의자가 되었다.


2023년 만 75세가 된 한대수 님이, 1960년에서 1974년에 찍은 필름 카메라의 미인화된 필름들을 다시 인화해 세상에 내놓은 이 사진집은 전대미문의 아티스트이자 코스모폴리탄 한대수 님 인생의 거의 '에필로그' 같은 작품집이라 느껴진다.

프롤로그, 1부 내 인생의 봄: 1960년대 뉴욕, 서울, 2부 길위의 고독: 뉴욕에서 몽골까지, 3부 끝까지, 평화 : 히피의 고독, 에필로그로 구성된 사진집 어느 하나 그냥 스쳐갈 수 없는 침묵의 사진들로, 행간의 너무나 많은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전해 주는 책이다.


사진은 찰나의 섬광으로 시간의 퇴화 속에서도 영원의 기록으로 남아 침묵의 무화(無化)할 수 없는 메세지가 된다.


불필요한 것들을 모두 제거해버린 사진과 글들에 사진의 장소마다 모든 이야기가 들어있다. 과장 없는 즉문즉답이라 가슴을 매 순간 흔들어 놓는다. 시대와 시간과 삶의 압화지. 가슴을 후비고 뒤흔들어 놓은 아름다운 '삶이라는 고통'의 사진집을 보고 읽으며 인생의 진리를 만나며, 순리처럼 휘몰아치며 어쩔 줄 몰랐던 冊.

그리고 예의 그 애독자로서 이 책을 함께 하고픈 내 애독자들에게도 한시 빨리 이 충만함을 나누고 싶어 조급증을 불러일으키는 그런, 깊고 기쁜 책이었다.


'서울, 1969'에는 특히 그냥 보기만 해도 꽂히는 사진들이 많았다. 여름 사람 하나 없는, 반이 그늘인 골목길에서 흰옷을 입고 지팡이를 짚고 양지쪽으로 걸어가는 노파의 사진. "그것은 고대의/ 여름 산들 바람을 찍은 사진/ 인생은 신기루".(127)

"기억의 지속이 우리를 만든다"(85)

"아직도 그대를 생각해/ 달이 스러지고/ 태양이 모습을 드러낼 때" (152)


"오직 당신 자신만을 돌본다면/ 당신은 홀로 남을 것이다" (231)


"나한테 음악은 신과의 대화다. 시간적으로는 제한 되어 있지만 영혼에게는 무한하다." "음악가는 일에서 기쁨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엄청난 고통 속에서 기쁨을 느낄 뿐이다." (186)


"더 이상 화내지도 말고, 남의 말을 하지도, 잘난척 하지도 말고, 똑바로 살아라." (200)


'에필로그'에 한대수 님이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마음이 다 들어있다. 

"Peace & 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