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 다니는

 

 

 

 

                             사람들 분주하게 오가는 공원 한 모퉁이

                             참새가 통통 뛰며 모이를 쫀다

                             비둘기가 옆에서 아장아장 걸으며 모이를 쫀다

 

                             통통 뛰는 새와 아장아장 걷는 새

                             어떤 새가 더 예쁘다든가

                             어떤 새가 더 촌스러운 새인지를 말하려는 게 아니다

                             참새와 비둘기가 같이 모이를 쪼는데 언뜻 보니

                             참새는 통통 뛰고 비둘기는 아장아장 걷더라는 것이다

 

                             걸음걸이가 좀 다르면 어떠냐

                             깃털의 빛깔이 좀 다르면 어떠냐

                             고양이가 오면 깜짝 놀라

                             참새는 울타리로 비둘기는 지붕으로 날아올랐다가

                             다시 내려와 같이 모이를 쫀다는 것뿐

 

                             날아오를 수 있다는 건 축복이다

                             세상이 변해도 때까치처럼 세상을 등지지는 말아야 할

                             텐데

                             기아에 허덕이는 모습을 보이거나

                             사람들 눈 밖에 나지는 말아야 할 텐데

   

                              땅으로 내려와 걷는 배고픈 새들이

                              깜짝 놀라 달아나게 해서는 안 된다

                              신록으로 눈부신 공원에

                              참새와 비둘기가 나란히 모이를 쪼고 있다  (P.14 )

 

 

 

 

 

 

                              시간의 빛깔

 

 

 

 

 

                               나무마다 제 빛깔로 물들고 있다

                               밤나무는 밤나무의 빛깔로

                               떡갈나무는 떡갈나무의 빛깔로

 

                               젊어선 나의 빛깔도 온통 푸른빛이었을까

 

                               목련꽃 같던 첫사랑도

                               삼십여 년 몸 담아온 일터도

                               온통 꽃과 매미와 누룽지만 같던 고향 마을도

                               모두 제 빛깔로 물들고 있다

 

                               늙는다는 건 제 빛깔로 익어가는 것

                               장미꽃 같던 정열도 갈 빛으로 물들고

                               농부는 흙의 빛깔로

                               시인은 시인의 빛깔로 익어가는 아침

 

                               사랑과 미움, 만남과 헤어짐

                               달콤한 유혹과 쓰디쓴 배반까지도

                               초등학교 친구들의 보리 싹 같던 사투리도

                               입동 무렵의 빛깔로 물들어가고 있다  (P.18 )

 

 

 

 

 

 

                                  보편적 언어

                                                        -산티니케탄6

 

 

 

 

 

                                아이들 뛰어노는 망고나무 숲*에 앉아

                                예수의 첫 번째 기적 이야기를 읽고 있는데

                                중병아리 같은 녀석들 둘이 다가왔다

                                머뭇거리며 싱글거리며 장난기와 불량기가

                                반반 섞인 몸짓으로 알아들을 수 없는 말로

                                지껄인다 알아들을 수 있는 건

                                원 헌드레드 루피**와 원 싸우전드 루피

 

                                원 헌드레드 루피는 점심 값이 없다는 얘기 같고

                                원 싸우전드 루피는 여자가 있다는 얘기 같았다

                                녀석들 손가락이 그걸 말하고 있었다

                                성스럽게 생각되던 산티니케탄 어디에도 범죄와

                                부조리와 사악은 있겠지만 설마, 하는 마음에 헛기침이

                                나왔다

 

                                광야에서 단식하는 사람의 아들에게

                                부귀와 영화를 약속하는 마귀처럼 나타난 녀석들

                                갑작스런 상황이 낯설어 자리를 피해 한참을

                                가다가 돌아보니 나무 밑 그 자리에

                                닭 쫓던 개처럼 우두커니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남루가 온몸에 흐르던, 어쩌면 배가 고파서

                                부자 나라 사람 같아서, 단지 그래서

                                다가왔을지도 모르는데 친하고 싶다는 표현이 겨우

                                그 시늉이었는지도 모르는데 그냥

                                보편적인 언어로 다가온 것일 수도 있는데  (P.50 )

 

 

                                  * 아름드리 망고나무 숲(Mango Grove). 타고르가 조성하고

                                    산책을 하던 곳으로 지금은 그가 세운 초중고의 학생들이 그

                                    그늘 아래서 자연친화적인 수업을 받고 있다.

                                   ** 인도 화폐단위로 1루피가 28원 정도 된다.

 

 

 

 

                                                              -최일화 시집, <시간의 빛깔>-에서

 

 

 

 

 

 

 

 

 

[시인의 에스프리]

이 시집은 4부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하게 어떤 특성을 살려 구분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2부엔 내가 70여 일 인도 동북부 산티니케탄에 머물면서 쓴 작품이 주를 이룬다. 모두 인도를 소재로 해서 쓴 것은 아니다. 산티니케탄이라는 지방에서 쓴 작품이기 때문에 산티니케탄이란 연작시 형태의 부제를 달았다. 그리고 4부에서는 가족 갈등 문제를 다룬 작품들이 여러 편 실려 있다. 가족 문제에서도 명쾌한 해답을 찾기가 어렵다는 걸 깨달으며 남북문제와 기타 여러 사회적 갈등의 실마리를 풀기가 얼마나 어려울까 생각해보기도 했다.
사적인 가족 갈등이 어떻게 보편성을 띤 문학작품이 될 수 있을까 고심했다. 현대판 쟁총문학이 될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격앙된 목소리로 글을 마무리해놓고 막상 발표하려고 하면 가로막고 나서는 것이 있었다. 가족이란 그런 것인가 보다. 비판적 글을 쓴 것은 가장 원만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복잡한 심정의 일단을 완곡하게 표현해본 것이 4부의 시편들이다. 부친의 연세가 올해 여든아홉이다. 부친도 생각하면 참 딱한 인생을 살아왔다. 왜 갈등이 없었겠는가. 마음과는 달리 얼른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또 있었을 것이다. 상황이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다.

 

 

 

추천글

 

김해자(시인) :  최일화 시인은 시간에 종속되는 피동적이고 숙명론적인 존재로 사물을 바라보는 관습적 사고에서 벗어나 있다. 시간을 가로질러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생명을 구성하는 창조적 의지를 자연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데, 그것이 능동적인 생명력을 얻는다. 나는 이 사유방식을 공간형 관찰이라고 부르고 싶다. 아니, 시간과 공간에 얽매이지 않은 제3의 눈을 통해 바라본 통합적이고 생성적인 전복적 사유라고 말하고 싶다. 우리를 옭아매는 시간이나 관념이나 규정은 정해진 시간을 먹고 살지만, 존재는 행위를 먹고 산다. “네 손발이 삿대가 되고 네 머리와 가슴이 돛대가 되어 푸른 하늘 은하수를 노 저어 가야 한다”(「시간에 대하여」)는 실천적이며 창조적인 행동, 그것이 곧 관습적 사고를 벗어난 주체적이고 전복적인 사유이며, 그것이 곧 최일화 시의 근간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데이지 2013-09-23 12:09   좋아요 0 | URL
appletreeje님 시간의 빛깔 참좋아요...
나를 생각하게하는데요...
잘 읽고갑니다.
좋은하루되셔요~

appletreeje 2013-09-24 10:11   좋아요 0 | URL
그렇지요~? 블루데이지님!
모두 제 빛깔로 물들고 있다...
우리는 지금 어떤 빛깔로 물들고 있을까요?

비가 오는 아침입니다.
블루데이지님!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2013-09-23 12: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9-24 10: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3-09-23 16:42   좋아요 0 | URL
하루가 흐르고
한 사람이 살아가며
해가 뜨고 지는 이야기가
천천히 흐르는군요.

appletreeje 2013-09-24 10:22   좋아요 0 | URL
예~그렇네요.^^
함께살기님께서도
오늘도 좋은 날 되셔요. *^^*

후애(厚愛) 2013-09-23 21:07   좋아요 0 | URL
항상 좋은 글만 올려 주셔서 너무 너무 감사드려요~
오늘도 제 눈이 즐거웠습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

appletreeje 2013-09-24 10:26   좋아요 0 | URL
늘 좋다하시고 즐겁다 하시니~
오히려 제가 더 너무 너무 감사드리며 행복합니다~!

후애님! 비가 내리는 오늘도, 편안히 즐겁게 좋은 날 보내세요~*^^*

2013-09-23 21: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9-24 10:38   URL
비밀 댓글입니다.